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세균 "서민 위해 김만덕 은행 만들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정세균 "서민 위해 김만덕 은행 만들겠다"
AD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민주통합당 정세균 대선경선 후보는 22일 금융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대형 공익은행을 설립하겠다고 공약했다.


정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민층의 심각한 금융소외는 정책자금만 풀어서 해결할 것이 아니라 불공정한 금융시스템을 바로 잡아 해결해야 할 문제"라면서 "이것을 기존 금융권에 맡길 수 없으므로 국가가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공익은행 설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가 제안한 공익은행은 주주의 이익보다는 공동체의 이익과 사회적 책임을 우선시하는 금융권의 대형 사회적 기업을 지향한다. 여수신 업무를 전문으로 하며 펀드나 파생상품 등 투기적 상품은 취급하지 않을 계획이다. 정 후보는 "자본금은 정부의 정책자금, 국민주 공모, 기업의 공익자본, 휴면예금, 미지급 카드포인트의 출자금 전환, 사회적 책임 투자펀드(SRI) 등을 바탕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은행은 가난한 민중을 구제해 이름을 날린 조선시대 상인 김만덕의 이름을 따 '김만덕 은행'이라는 가칭이 붙었다. 은행 자본금은 3조원, 임직원은 2만여명, 지점 수는 600개 수준이 될 전망이다. 정 후보는 "IMF 때 국민의 도움으로 살아난 대형 은행들은 국민의 재산을 지켜야 하는 소임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면서 "공익은행은 고수익이 아니라 누가 더 국민 삶에 기여하느냐로 대형은행들과 경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후보는 "공익은행은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1천만명의 서민들에게 양질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서민층의 자활능력을 확충하고 가계부채 축소를 유도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불법 사채 및 대부업의 존립 기반을 없앨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공익은행은 고금리가 없고 고임금이 없는 은행이 될 것"이라며 "필요한 인력은 고졸, 지방대 출신, 퇴직자들로 충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종탁 기자 tak@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