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르포]속앓는 개포3단지… 때아닌 ‘폭탄’에 우왕좌왕

시계아이콘02분 2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구채은 기자, 김민영 기자, 박나영 기자, 이현주 기자, 오종탁 기자, 김혜민 기자, 이민찬 기자] "지금 11평짜리에 사는데 34평짜리 새 아파트에 입주하려면 3억원은 더 내야 한다. 넓은 평수 아파트를 받을 수밖에 없다니 앞날이 캄캄하다."


개포주공3단지 주민들의 속앓이가 시작됐다. 지난주 ‘소형 30% 이상’ 조건으로 재건축안이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됐지만 주민들의 속내는 그리 밝지 않다. 재건축할 경우 ‘추가부담금’을 내야 하는 압박 때문이다. 수십년간 거주하던 내집이 재건축으로 인해 떠안아야 할 폭탄이 된 셈이다.

이같은 분위기는 인근 재건축 사업장으로 고스란히 전달되고 있다. 5·10 대책이 발표된지 열흘이 지났지만 거래공백이 이어지면서 서울 재건축 시장이 4주만에 하락세로 돌아선 것도 같은 맥락이다. 3단지를 비롯해 재건축시 본인들이 부담할 비용이 얼마인지 물어보는 문의만 늘고 있다는게 일대 중개업소 공통된 반응이다.


◇“대형평수 많아야 명품단지?”= 3단지 재건축 추진위 관계자는 “(3단지의)가장 큰 문제는 추가부담금에 따른 평형 갈등”이라며 “중형보다 소형이나 대형이 늘어난 것이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의 이번 계획안에 따르면 개포3단지는 현재 ▲36㎡(610가구) ▲42㎡(380가구) ▲49㎡(170가구) 등 총 1160가구가 ▲49㎡(88가구) ▲59㎡(260가구) ▲84㎡(462가구) ▲97㎡(280가구) ▲110㎡(152가구) ▲130㎡(30가구) 등 총 1272가구로 바뀐다.


가구수는 늘었지만 올 초 도계위 소위원회에 상정한 계획안과 달리 36㎡조합원들이 선호하는 78㎡ 320가구가 없어지고 대형인 130㎡ 30가구가 추가됐다. 지난 4월 진행된 설문에서 36㎡ 조합원(610명) 중 절반만이 84㎡를 신청했던 점을 감안하면 나머지 절반은 본인 의사와 관계없이 더 큰 주택형을 배정받아야 하는 입장이 됐다. 이 관계자는 “지금 11평에 사는 사람이 25평으로 가면 추가부담금이 거의 없다. 하지만 31평으로 가려면 2억원 정도를 부담해야 하고 34평형에 입주하려면 3억~4억원이 더 필요하다”며 “추진위 내부에서 ‘대형평수 많아야 명품단지가 된다’는 주장이 나왔는데 따지고 보면 넓은 평수로 갈 필요성을 못 느끼는 주민들이 대다수”라고 말했다.


이에따라 주민들의 불안감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3단지에 거주하는 김모씨(여·58)는 “15평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더 작은 평수를 고집할 경우 11평에 사는 주민들은 평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게 된다”며 “통상적으로 평형선택 우선권이 큰 평수 거주자한테 있다보니 11평에 사는 사람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38평이나 43평에 가야 한다”고 털어놨다. 결국 5억~6억원에 달하는 추가부담금에 대한 여력이 없는 주민들은 아파트를 팔고 나가는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이렇다보니 개포주공2·3단지를 바라보는 중개업소의 시선은 싸늘하다. 일대 G공인 대표는 “서울시에서 주민동의 없이 계획안을 밀어붙였기 때문에 이 안이 얼마나 빨리 추진되느냐는 전적으로 조합원 의지에 달렸다”며 “주민들 사이에서는 수익성이 떨어진데 비해 추가부담금은 높아졌다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헷갈리는 재건축”= 개포주공2·3단지의 재건축안 통과 과정을 지켜본 인근 사업지의 속내도 복잡해졌다. 1단지에 거주하는 최모씨(남·44)는 “1~4단지가 다같이 똘똘 뭉치면서 시위할 때가 엊그제였는데 2,3단지가 먼저 치고 나가 배신감도 들고 뒤쳐졌다는 위기감도 느꼈다”며 “며칠새 소형비율을 높이더라도 사업속도를 올리자 여론이 우세해진 듯 하다”고 털어놨다.


이에 1단지는 당초 계획보다 소형주택을 소폭 늘리는 안에 대한 설문조사에 들어갔다. 임대아파트를 초소형으로 바꿔 소형주택 수를 늘리겠다는 의도다. 이 경우 임대아파트 393가구는 36㎡ 단일평형 571가구로 대체돼 총 가구수는 6518가구로 늘어나고 소형평형 역시 1460가구(22.4%)로 기존 20.2%보다 소폭 늘어난다. 하지만 ‘30%’라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서울시의 요구를 만족시킬지가 변수다.


소형평형이 대거 들어설 경우 시세 하락이 점쳐진다는 중개업소의 분석도 눈에 띈다. 일대 K공인 대표는 “개포주공 대형평수를 기다리는 부유한 사람들이 소형평형과 임대주택을 이유로 관심을 끊게 되면 그만큼 거래가 줄어 시세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과거와 달리 사회적 요구가 늘어났지만 개인재산을 침범하는 데에 따른 보상이나 인센티브가 없어 주민들 불만이 커지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5·10대책 발표 후 상승세를 타지 못한 대치동 은마아파트도 마찬가지다. “찔끔찔끔 제도를 완화해주는 중앙정부와 좀처럼 요구안을 굽히지 않는 서울시 중 어느 장단에 맞춰 움직여야 할 모르겠다”는게 일대 중개업소의 공통된 반응이다.


지난주 용적률 300%로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해 한 숨을 돌린 신반포6차 주민들도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을 지적한다. 일대 중개업소 관계자는 “오 시장이 르네상스한다고 조합들도 거기에 맞춰 준비해놨는데 시장이 바뀐 후로 어떻게 한다는 말이 없으니 답답하다”며 “한강을 공원화하겠다는 계획을 철회할 것인지 아니면 어떤 방식으로 재건축을 유도할 것인지를 분명히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반포는 전부 한강을 끼고 있으니 한강을 개발하려면 일대 단지들 전체가 동의하고 땅을 기부채납해야 하는데 시간도 오래걸릴 뿐더러 쉽지도 않다”며 “도계위를 통과했지만 박 시장 임기 내에 재건축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생각들이 팽배하다”고 밝혔다.


반면 세입자들의 생각은 다르다. 당장은 문제가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소형 평형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주공1단지에 세를 얻어 살고 있다는 박모씨(남·39)는 “예전에는 큰 평수가 가격을 주도했고 소형평형에 살면 빈민촌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이제는 젊은 1~2인가구 많아져 소형평형이 많아야 거래도 늘고 가격도 뛸 것”이라고 내다봤다.

[르포]속앓는 개포3단지… 때아닌 ‘폭탄’에 우왕좌왕 개포주공3단지 전경 /
AD




배경환 기자 khbae@
구채은 기자 faktum@
김민영 기자 argus@
박나영 기자 bohena@
이현주 기자 ecolhj@
오종탁 기자 tak@
김혜민 기자 hmeeng@
이민찬 기자 leem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