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입차, 한국공습 시작됐다]“신속한 A/S시스템은 한국차만의 강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4초

수입차 한국시장서 배운다

[수입차, 한국공습 시작됐다]“신속한 A/S시스템은 한국차만의 강점”
AD


수입자동차가 바라보는 국내 시장은 여러 얼굴을 가졌다. 과거 수입차가 바라보는 시장은 대한민국 1%를 위한 시장이었지만 최근에는 일반 대중시장으로 범위가 크게 확대됐다. 한국시장내 개척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국인의 소비 지향점을 깨우쳐야 한다는 점에서 쉽지 않은 도전이다.

글로벌 회사들의 첫 번째 성공전략은 ‘현지공략’이다. 현지인에 맞으며 현지인에게 필요한 것을 생산해 냄으로써 실질 구매력을 높이는 전략이다. 반대로 자동차의 경우에는 완제품을 다루기 때문에 수정을 거듭해 현지화하기가 애초부터 어렵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상황이 깨진 것은 수입자동차를 바라보는 시각 자체가 변했기 때문이다. 수입차 딜러사에 근무하는 A씨는 “그동안 외국자동차 회사들이 바라보는 한국시장은 손톱만큼 작은 시장에 불과했지만 최근 판매량이 크게 늘면서 바라보는 시각이 크게 달라졌다”고 밝혔다.


여기에 현대기아자동차의 활약 등으로 통해 한국자동차의 활약이 커지면서 외제차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는 것도 한 이유다. A씨는 “한국 차량이 시간이 지날수록 좋은 제품을 만들어내고 있는 상황에 수입차와 가격 폭이 매우 커져 수입차 구매를 꺼리고 있는 것이다”며 “외국자동차 기업들이 최근 중저가형 자동차를 만들어내는 것도 한국시장에 적극공략하기 위한 작업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을 들어 외국자동차 회사들은 “한국에게 배워라”라는 큰 주제를 잡고 한국자동차와 한국시장에 대해 재평가하는 중이다.

현재 한국시장 공략을 제일 먼저 포문을 연 곳은 인피니티를 판매하고 있는 일본 닛산이다. 한국닛산은 “한국차는 가격대비 품질 경쟁력이 높다. 자동차 본고장인 미국과 독일에서 품질 만족도 조사에서 상위권에 차지하는 등 품질 경쟁력을 입증받았다”며 “이러한 변화는 불과 몇 년 사이에 이뤄졌다. 한국자동차 업체들의 사업 추진력을 가늠케하는 사례다. 닛산은 한국차의 ‘스피드 경영’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닛산은 또 “기술개발 속도가 매우 빠르고 해외도 적시에 생산설비를 만드는 등 적극적 마케팅에 나서는 등 발 빠른 움직임은 수입차 업체들이 특히 배워야 할 점”이라고 전했다. BMW관계자는 “그동안 수입차에 경쟁력은 희소성에 있었지만 최근 수입차 시장이 완전 개방되면서 희소성이 사라지게 된다”며 현지시장의 중요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벤츠사의 한 관계자는 “한국자동차는 항상 그 시장에 맞게 바꾸고 고객들의 생각을 적극 반영한다”며 “수입자동차도 자신만의 브랜드를 필두로 그 시장에 맞는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수입 차량들은 한국의 A/S 정책에 대해 이구동성으로 호평을 내렸다. 신속하고 빠르게 대처하는 자동차 A/S기술과 시스템은 한국자동차만의 ‘경쟁력’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하지만 역으로 한국자동차 역시 수입차와 경쟁하면서 부족한 점을 채워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현대·기아자동차 정몽구 회장은 지난 3월 제네바모터쇼에서 BMW 뉴3시리즈를 두고 “비싸긴 하지만 잔고장이 없다”고 평가했다. 이는 외국 차량과 비교해 전장과 기능면에서는 별 차이가 없지만 브랜드 파워때문에 가격이 비싸다는 점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현대차 역시 브랜드의 힘을 더욱 길러 세계명차들에 당당히 맞서자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는 얘기다.


이코노믹 리뷰 최재영 기자 sometimes@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