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충무로에서]뉴타운 출구 전략, 출구가 안보인다

시계아이콘01분 44초 소요

[충무로에서]뉴타운 출구 전략, 출구가 안보인다
AD

시작은 거창했고 의도는 좋았었다. 소규모로 띄엄띄엄 개발되어 도시의 인프라를 무질서하게 만들어 버렸던 기존의 재개발 사업을 반성하며 '보다 광역적 재개발을 진행하고, 주민을 위한 기반시설을 대폭 늘리자'라는 두 가지가 서울시가 전국에서 처음 시작한 뉴타운의 주요 목적이었다. 2002년에 시작했으니 벌써 10년 전 일이다. 이때 시에서 내걸었던 슬로건은 '강남북 균형발전'. 강남에 비하여 현저히 부족하고 불편한 공원, 학교, 도로 등 기반시설의 균형을 맞추자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시장에서 받아들이는 균형은 사뭇 달랐다. 시장에서는 '땅값의 균형'이 우선이었다. 그동안 강남에 비해 한 탕(?)을 못 했던 강북 주민들에게 뉴타운은 돈 벌 기회였다. 실제로 뉴타운으로 지정된 곳의 땅값은 순식간에 2~3배 이상 오르는 게 예사였고 뉴타운 지구 지정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 강북 주민을 부자로 만들어 줄 막차 등으로 묘사되었다. 땅 소유자 중에는 현지 주민보다 외지인이 더 많았지만 어쨌든 지가는 올라갔고 사람들은 환호했다. 정치인도 가세했다. 2008년 총선 당시 뉴타운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후보가 28명에 이르렀다니 할 말 다한 셈이다. 몇 년 만에 뉴타운은 26개 지구 226개 구역으로 확장되었고 서울시내 재건축ㆍ재개발 구역은 전체 주거 지역의 20%에 달하게 되었다. 서울시민이 집 짓고 사는 땅의 5분의 1이 개발 열풍에 휩싸이게 된 것이다.

이랬던 뉴타운은 2008년 금융위기를 고비로 사업성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과다 지정과 함께 세계적인 경기침체는 뉴타운의 발목을 잡았다. 사업성이 떨어지면서 상당수가 주민 반발과 재원 부족 등으로 추진을 못 하게 될 지경이 되었다. 수익성이 떨어진 뉴타운 개발이 지지부진해지면서 일부 지구의 경우 빈집이 방치되거나 조합과 조합원 간에 소송전이 벌어지는 등 갖가지 부작용이 발생했다.


이제는 뭔가를 해야만 하는 시점에서 나온 서울시의 출구전략은 시기적으로 타당하다. 출구전략의 개요는 서울시 뉴타운ㆍ재개발ㆍ재건축 대상 1300개 구역 중 사업시행 인가 이전 단계에 있는 610개 구역에 대해 실태조사와 주민의견 수렴 등을 거친 뒤 사업시행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즉, 사업이 지지부진한 곳은 해제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그러나 이제 출구를 찾겠다는 방침만 섰을 뿐 해결해야 할 문제가 가득하다. 우선 뉴타운 지정 해제 여부를 판별하는 주민 조사 대상과 기준, 자격 등이 모호하다. 해제 요건인 조합원 30%의 동의에 대한 근거도 부족하다. 해제된다고 해도 지구 결정과 마찬가지로 공정성 논란이 나타날 수 있다. 뉴타운 구역이 해제되면 토지이용계획이 처음 설계했을 때와 달라져서 도시기반시설이 엇갈릴 가능성도 크다. 예를 들어 뉴타운으로 가는 구역은 6차선 도로를 신설하면서, 인접한 해제 구역은 기존대로 2차선 도로를 둔다면 두 구역 간의 원활한 연결은 불가능할 것이다.


이 밖에도 주택 수급 불균형, 거주권과 소유권의 대립 등도 문제다. 가장 큰 문제는 뉴타운 해제 시 발생하는 비용, 즉 매몰비용을 누가 부담할 것인가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서울시도 자치구도 중앙정부도 주민도 이 비용을 짊어지려 하지 않는 상황. 이를 해결하려는 길고도 지루한 싸움이 예상된다.


단독주택 허물고 다시 지을 때는 자기 돈으로 하지만 공동주택을 재건축할 때는 남의 돈으로 짓고 이득까지 보는 게 당연한 사회, 공원ㆍ학교ㆍ도로 같은 도시기반시설은 지자체가 설치하는 게 맞지만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된 곳에서는 주민이 기부 채납하는 게 의무인 나라, 주택을 살기 위한 곳이자 동시에 큰돈 벌어주는 대상으로 보는 게 당연시되어 온 이곳. 앞으로 출구까지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김세용 고려대 건축학과 교수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