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초등생 위치 알려주기, 2014년 서울 전체 초등생으로 확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서울시가 2014년까지 초등학생이 위험지역에 가거나 등·하교 때 경로를 벗어나면 보호자에게 즉시 통보하는 'u-서울 어린이 안전시스템' 대상 학교와 위치 확인 범위를 시 전체, 전역으로 확대한다. 또 저소득층 어린이 5만여명에겐 무료로 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울시는 20일 이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한 'u-서울 안전서비스 확대' 3대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어린이 안전망 확대 구축에 나섰다.

u-서울 안전서비스는 주기적인 자녀위치 확인을 통해 어린이들의 신상을 보호하고 비상시엔 정확한 위치 추적 및 CCTV 영상정보를 활용해 신속히 긴급구조가 이뤄지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위치확인을 위해 휴대폰이 없는 어린이에게는 위치추적 기능이 내장된 캐릭터형 전자태그를 배부하고 휴대폰(스마트폰)이 있는 어린이는 경찰청의 ‘112앱’과 ‘원터치 SOS’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우선 서울시는 현재 구로구 등 7개 초등학교 3141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u-서울 안전존서비스를 u-서울 안전서비스로 보안 개편해 2014년까지 서울 시내 588개 모든 초등학교 약 56만명으로 대상을 확대한다. 특히 서울시는 휴대폰을 소지하지 않은 초등학생 약 33만명을 주 적용 대상으로 정해 캐릭터형 전자태그를 배부하기로 했다.

기존 초등학교를 기준으로 반경 300~500m 내외였던 위치 확인 범위도 서울 전 지역으로 확대된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민간 사업자와 25개 모든 자치구의 CCTV통합관제센터를 경찰·소방과 연계하는 시스템을 2013년까지 갖출 계획이다.


이와함께 서울시는 2014년까지 저소득층 어린이 5만명에게 단말기 구입 및 매월 이용요금을 무료로 지원하기로 했다.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새터민가정, 교육복지시설 수용 초등학생 등으로, 서울시는 저소득층 지원근거 마련을 위해 내년 초까지 관련 조례를 제정할 방침이다.


이밖에 치매노인과 정신장애인에게도 단계적으로 서비스를 확대해 위치기반 안전서비스가 필요한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황종성 서울시 정보화기획단장은 "u-서울 안전서비스는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가 보다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IT 도시안전망"이라며 "특히 저소득층 어린이들이 안전서비스에 소외되지 않도록 배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