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EU FTA 가격인하효과, 체감까지 시간 필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국내 소비자들이 한·EU FTA로 인한 가격인하효과를 체감하기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이란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30일 오전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개최한 '제11차 유통위원회'에서 서용구 숙명여대 교수는 "판매업체들이 관세인하분을 상품가격에 반영하기보다는 국내시장 입지강화를 위해 마케팅에 집중할 것으로 보여 소비자들의 FTA효과 체감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초화장품의 경우 관세율이 1년에 1.3%포인트씩 낮아져 5년 후에 철폐되는 등 관세 철폐가 시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까닭도 있다"고 덧붙였다.

서 교수는 한·EU FTA가 미치는 업종별 영향과 대응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의류분야의 경우 "13%의 원단 관세 철폐로 유럽산 원단을 많이 사용하는 국내 의류업체의 비용절감 효과가 예상된다"면서도 "ZARA, H&M 등 유럽산 중저가 의류브랜드의 경우에는 원래부터 저가전략을 펴온 탓에 국내 소비시장에서의 가격인하 여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주류의 경우 "맥주는 30%의 관세가 7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철폐되고 위스키는 관세 이외에 부가되는 세금비중이 커 실질적인 인하 여력이 크지 않다"고 밝혔다.


의류, 화장품, 가죽 등 명품브랜드의 경우에도 "가격이 비쌀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다 명품의 대중화 추세로 명품업체들이 프리미엄 전략을 구사하고 있어 관세 인하분이 소비자가격에 반영될지는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이날 위원회는 김동환 안양대 교수, 박훈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장철원 신세계인터내셔널 상무가 패널로 참여했으며 국내 주요 유통기업 CEO와 임원 등 약 50명이 참석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