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곽 교육감 거취에 따라 흔들리는 서울교육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아시아경제 이상미 기자]직선교육감 출범 1년을 채운 지 한 달 만에 서울교육이 다시 흔들리고 있다.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이 28일 박명기 서울교대 교수에게 2억 원을 건넸다고 인정하면서 최대위기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인사와 뇌물비리로 지난해 3월 구속된 공정택 교육감 이후, 부패척결과 도덕성을 내세워 당선된 곽노현 교육감마저 취임 1년 만에 비리에 휘말리자 '서울교육'이 방향성을 잃고 해메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곽 교육감의 거취에 따라 지난 1년 동안 '서울교육의 혁신'을 외치며 추진해온 체벌금지, 초등학교 무상급식, 혁신학교 추진 등 정책 역시 지속적인 추진여부가 불투명해질 수 있다. 곽 교육감은 지난달 26일 '2011∼2014 서울교육 발전계획'을 발표하고, 향후 3년 간 추진할 서울교육 발전전략을 담은 12대 역점사업과 39개 정책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곽 교육감은 발전계획을 통해 '민주사회 공교육의 본질과 책무성 회복'을 목표로 교육내용의 전면 혁신을 위한 5개 사업, 공교육의 책무성 강화를 위한 7개 사업을 역점사업으로 제시했다. 또 서울교육 정책방향인 ▲꿈을 키우는 희망교육 ▲포기 없는 책임교육 ▲미래를 여는 혁신교육 ▲함께하는 참여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39개의 전략계획을 발표했다.

곽 교육감이 추진해온 교육정책들은 학교 현장에 완전히 뿌리내리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돼, 교육감의 거취문제에 따라 학교 현장의 혼란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곽 교육감의 기자회견이 열린 28일, 서울시교육청 직원들은 일요일에도 출근해 자리를 지켰지만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아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오늘 오전 출근길에 만난 곽노현 서울시교육감도 입을 굳게 닫은 채 앞으로의 거취문제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아무런 답변 없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집무실로 이동했다.




이상미 기자 ysm125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