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프라임그룹 워크아웃 추진...프라임저축銀 운명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홍역 치른지 두달...다시 생사기로

증자 등 자구노력 역부족...적기 시정조치 대상 가능성도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프라임저축은행이 비상이다. 그룹의 증자 및 자구노력이 절실한 상황에서 모기업인 프라임개발이 워크아웃을 신청할 경우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미 모기업인 프라임개발의 워크아웃 검토 소식에 프라임저축은행 직원들은 풀이 죽었다. 모기업이 쓰러질 경우 모든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일부 직원은 벌써부터 이직을 고려하고 있을 정도다.


프라임저축은행은 지난 6월 대주주의 불법 대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예금인출 사태로 홍역을 치른 바 있다. 당시 사흘 동안에만 1323억원이 빠져나가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유동성 콜을 지원받아 간신히 예금인출을 막았다. 이후 테크노마트 매각 등으로 자구 노력을 펼쳐왔지만 신통치 않았다.

특히 프라임저축은행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기준치에 미달해 최근 금융감독당국이 진행한 경영진단 이후 증자와 자구노력을 요구 받기도 했다.


지난 3월 말 현재 총자산 1조4235억원으로 저축은행 업계 20위 안에 드는 중대형저축은행이지만 부실대출 비율이 11%에 달하는 등 BIS비율도 5.1%에 불과, 금융당국의 BIS비율 지도기준(5%)에 못 미쳐 적기 시정조치 대상에 이름이 오를 가능성이 높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프라임저축은행은 이번 경영진단 결과에서 고강도 자구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모기업인 프라임개발이 워크아웃에 들어갈 경우 프라임저축은행의 자구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에 대한 시장의 불안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어 걱정"이라며 "프라임이 넘어질 경우 향후 판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아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프라임저축은행 측은 "프라임그룹의 워크아웃과는 별도로 정상화에 노력하고 있으며, 필요시 외자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피력했다.


이광호 기자 kwang@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광호 기자 kwang@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