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업 78% "스펙과 업무능력은 무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이승종 기자] 기업 인사담당자 10명 중 8명은 학벌, 학점, 어학능력 등을 완벽하게 갖춘 소위 ‘고스펙’ 소지와 업무능력에는 큰 상관관계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취업포털 커리어에 따르면 인사담당자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78.7%가 고스펙과 업무능력의 상관관계가 없다고 답했다.

고스펙 소지자가 업무능력이 뛰어나지 못한 이유는 41.4%가 ‘회사에 대한 충성도·애사심이 부족해서’를 꼽았다. ‘조직 적응력이 부족해서’ 34.5%,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부족해서’ 13.8%, ‘인성이 부족해서’ 10.3% 이었다.


고스펙 소지자가 업무능력이 뛰어난 이유는 ‘전공지식이 풍부해서’가 52.7%를 차지했다. ‘다양한 경험이 갖춰져 있어서’ 27.3%, ‘어학능력이 뛰어나서’ 10.9%, ‘창의적 사고가 가능해서’ 5.5% 등이었다.

기본적 업무능력을 갖추기 위한 중요한 자질(복수응답)로는 ‘인성·성실성·책임감’이 58.1%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 47.3%, ‘상황판단능력’ 46.5%, ‘열정·행동력’ 34.9%, ‘창의적 사고능력’ 25.6%, ‘글로벌능력’ 7.0% 순이었다.


업무성과와 상관성이 높은 스펙(복수응답)은 45.0%가 ‘인턴·아르바이트 경력’을 선택했다. ‘전공지식’ 41.9%, ‘대외활동 경력’ 34.5%, ‘공모전 수상경력’ 19.4%, ‘어학능력’ 18.6%, ‘해외경험’ 9.3%, ‘학점’ 5.0%, ‘학력(학벌)’ 4.7% 이었다.


한편, 신입직 채용 후 만족할 만한 업무성과가 나오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10.5개월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는 ‘9개월~12개월 이내’가 29.8%로 가장 많았으며 ‘6개월~9개월’ 20.9%, ‘3개월~6개월’ 17.8% 순이었다. ‘2년 이상’ 걸린다는 응답도 7.1%를 차지했다.


커리어 김동혁 마케팅영업본부장은 “학점이나 어학성적, 해외연수경험 등을 두루 갖춘 고스펙 구직자 및 신입취업자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업무능력 기대치에는 못 미치는 셈”이라며 “열정과 책임감, 소통능력 등 개인의 인성적인 문제를 다시 한 번 재고해 봐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승종 기자 hanaru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