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형 증권사 "몸집 어찌 키우나.." 저울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분 19초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선정 위한 자금조달 방법 고심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종합금융투자사업자 선정기준을 맞추기 위한 대형증권사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일부 대형 증권사는 이미 가능성 있는 모든 자금조달 방법을 놓고 저울질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가 27일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통해 밝힌 종합금융투자사업자는 기존 증권회사와는 법적으로 완전히 다른 개념으로 구분된다.

종합금융투자사업자는 현행 상법에 따른 주식회사이면서 증권에 관한 인수업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로 자기자본 3조원 이상 기준에 만족해야 한다. 사업자로 선정된 회사는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비상장 주식 등 내부주문 집행, 프라임브로커(Prime Broker) 업무 등을 할 수 있다.


종합금융투자사업자로 가능성이 높은 증권사로는 금융당국이 마지노선으로 제한한 자기자본 3조원 규모에 가장 인접해 있는 대우증권, 삼성증권, 현대증권, 우리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5개사. 이들 증권사들이 가장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자금조달 방법은 유상증자, 인수합병(M&A), 자본전입, 후순위채 및 하이브리드채 등이다.

◆유상증자= 상위 5대 증권사들에게 가장 유리한 자금조달 방법은 유상증자다. 일반공모 방식, 제3자 배정방식 등에 따라 양상이 달라지겠지만 특별한 재무적 문제가 없다면 공모방식을 병행할 가능성이 높다. 프라임브로커 사업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확인하면서 신속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삼성증권의 고위 관계자는 “매년 이익유보 규모를 감안할 때, 올 회계연도가 끝나는 시점에 자기자본 3조원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보이며, 필요시 유상증자도 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사정은 대우, 현대 등 다른 증권사도 크게 다르지 않다. 금융당국은 증권사간 인수합병(M&A)을 통해 덩치를 키워 글로벌 투자은행과 맞설 수 있는 규모가 되기를 원하지만 투자은행을 준비하고 있는 증권사들 대부분은 자체 자금 조달쪽으로 무게의 중심을 두고 있다.


다만 자금조달 이후 맞닥드려야할 비용이 문제다. 올해 3월말 기준 대우증권의 자기자본 규모는 2조8596억원으로 가장 크고, 삼성증권 2조7945억원, 현대증권 2조6890억원, 우리투자증권 2조6284억원, 한국투자증권 2조4230억원이다. 최소 1404억원에서 5770억원까지 추가로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 셈이다.


자금조달 이후 해당 증권사들이 매년 지급해야할 비용은 현재 기준금리 3.25%를 적용할 때 45억원에서 187억원에 달한다. 조달할 자금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대우증권이 45억원으로 그나마 양호한 편이지만 한국투자증권의 경우 187억원 이상의 수익을 프라임브로커 사업 등에서 벌어들일 수 없다면 적자가 불가피하다.


더구나 초기 시장진입에 성공하기 위해 쏟아부어야할 자금의 규모도 확실하지 않은데다 기준금리가 아닌 시중금리를 적용하면 조달비용은 적지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주가 및 수익성 희석화 우려도 고민이다.


증권업종 담당 한 연구원은 "대형사들에게 유상증자가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증자 이후 물량부담으로 주가 희석화 가능성을 높다"며 "자금조달비용 역시 추가적인 고민꺼리로 부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수합병(M&A)= 프라임브로커 사업과 관련한 논의가 활발했던 지난 5~6월 시장에서는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통과된 이후 증권사 인수합병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다. 그동안 금융당국이 글로벌 투자회사(IB) 발돋움하기 위해 증권사간 인수합병이 필요하다고 수차례 강조했던 점이 집중적으로 부각되기 시작한 것.


이후 인수합병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잇따르면서 잠잠해졌다. 인수합병 과정을 밟는다고 해도 최소 1~2년이 필요한 데다 인수이후 절차를 감안하면 내년 6월 이전까지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분석이다.


N증권사 고위 관계자는 "중소형사의 경우 3조원 기준을 맞추기 위해 리스크가 큰 인수합병에 나설 가능성은 매우 낮다"며 "초기 시장진입이 중요한 프라임브로커 사업의 경우 유예기간을 준다고 해도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일정"이라고 지적했다.


증권사 스스로 인수합병에 나설 가능성이 낮은 금융시장의 풍토도 걸림돌이다. 증권사 대부분 오너(Owner)를 중심으로 한 지배구조에 있기 때문에 변화를 피하려는 본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은행 및 대기업에 속해있는 증권사는 그룹의 자본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실제 인수합병을 통해 분리시키기가 쉽지 않다.


한신정평가가 자본시장법 도입 이후 내놓은 보고서에서 증권 자회사가 계열사간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그룹내 전략적 위치가 쉽게 바뀌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분석은 다시한번 재고해봐야할 대목이다.


A대 경영학부 교수는 "지금까지의 금융시장 풍토로는 자발적인 인수합병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며 "특히 국내 대부분의 증권사들의 지배구조로는 금융당국이 기대하는 인수합병은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대형사의 경우 중소형사는 물론 대형사와의 인수합병 시너지에 대해 회의적인 측면이 더 커 확실한 유인책이 없는 한 인위적인 인수합병이 유일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후순위채, 하이브리드채, 자본전입= 기타 자본조달 대안으로 떠오르는 방법은 후순위채, 하이브리드채, 자본전입 등 방법이 있다. 하지만 후순위채와 하이브리드채의 경우 금융위가 이를 자본으로 인정할지 여부를 분명하게 밝히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더구나 후순위채는 증권사의 BIS비율이라고 불리는 '영업용순자본비율(NCR)' 산정시 제한적으로 영업용순자본으로 인정해주지만 회계상 부채로 인식되기 때문에 섯불리 선택할 수 없는 방법이다.


상대적으로 자본전입방법은 2055억원의 지본만 조달하면 되는 삼성증권의 경우는 충분히 고려할만하다. 삼성증권의 경우 올들어 자본전입의 방법으로 자기자본규모를 2조 7945억원으로 2000억원 가까이 끌어올린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자기자본 조달방법과 관련한 각종 우려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기대감은 높다.


정보승 한화증권 연구원은 "이번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통해 정책당국의 자본시장육성에 대한 강력한 의지가 드러났다"며 "경기불확실성이 높은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과감하게 제도개혁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개정안이 전반적으로 시장활성화와 금융기능 정상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시장이 확대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기대되며, 대형사의 수혜가 가장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철영 기자 cyl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