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주의 남자>, 로맨스와 정치 모두 잡는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공주의 남자>, 로맨스와 정치 모두 잡는다
AD

<공주의 남자> 3회 KBS2 수-목 밤 9시 55분
<공주의 남자>는 시작부터 ‘로맨스 사극’임을 공공연하게 천명했다. 이를 위해 계유정난을 핵심 소재로 삼은 것이 상당히 영리한 선택이었음은 3회를 통해 드러났다. 핏방울과 꽃으로 장식된 드라마의 타이틀 이미지가 말해주듯, 운명의 소용돌이에 휩쓸린 원수 가문 청춘들의 비극적 로맨스는 애절하고, 보는 이의 몰입을 높인다. 그리고 승유(박시후)와 세령(문채원)은 물론, 경혜공주(홍수현)와 신면(송종호) 그리고 정종(이민우)까지, 로맨스에 얽힌 인물들이 단순히 남녀상열지사만이 아니라 아버지들인 수양대군(김영철), 김종서(이순재), 문종(정동환), 신숙주(이효정)의 정치적 알력 관계와 얽히는 구조는 ‘정치 사극’으로서의 면모 또한 놓치지 않는다.


승유와 세령이 애틋한 감정을 쌓아가는 과정은 김종서와 수양대군이 반목하는 과정과 나란히 보여진다. 신면의 세령을 향한, 품었으나 아직 드러나지 않은 연정의 징후는 그와 신숙주가 가진 은밀한 야망에 대한 은유다. 경혜공주가 세령에게 “연모는 아니란 말이냐?”라며 승유와의 감정을 확인한 것 또한, 자신과 세자의 안위에 대한 걱정인 동시에 한 여인으로서 가진 질투와 두려움의 표현이기도 했다. 부모 대에서 실타래처럼 꼬인 인연이 자식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드라마의 등장인물 대부분이 로맨스로 엮이는 구조는 자칫 식상하게 느껴지기 쉽지만 <공주의 남자>는 사극의 외피를 쓰며 이를 피해간다. “타고난 운명이란 진정 거스를 수 없는 것인가?”라는 수양대군의 물음처럼, 정치나 계급, 부모, 무엇보다 시대로부터 훨씬 더 자유로울 수 없는 사극의 인물들이기에 이들의 감정은 갈등을 위한 설정으로 소비되지 않는다. 그래서 세령이 말을 타거나 그네를 타는 장면을 세심하게 보여주는 것은 의미가 있다. 자유로울 수 없는 시대에, 자유롭고자 하는 세령이 바람을 맞고 하늘을 날며 보여준 환희의 표정은 이 비극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이 가장 원하는 ‘운명을 거스르는 자유’라는 욕망,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0 아시아 글. 김희주 기자 fiftee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