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리금융 인수, 윙크하는 姜(강만수)-金(김석동)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산은금융지주 논리가 맞다(?)'


우리금융지주 매각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역민영화' 논란의 중심에 선 산은금융 논리를 지지하고 나서 금융권에서 제기됐던 '메가뱅크 사전 시나리오' 의혹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산은금융의 미리 짜고치는 우리금융 매각'이란 비판이 민간금융지주사를 비롯한 금융권과 정치권에서 거세질 전망이다.

30일 금융지주사 고위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발언은 우리금융 매각 작업과 관련해 산은금융과 금융위가 '짜고치는 고스톱' 식으로 일을 진행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김 위원장의 설명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7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산은금융은 후보 중 하나일 뿐"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산은금융이 예금보험공사가 갖고 있는 우리금융 지분을 인수하면 정부 지분은 하락하게 된다"며 "이후 민영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정부 지분이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같은 논리는 산은금융의 주장과 거의 일치한다는 점에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산은금융은 예보 지분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1차로 정부 지분이 10~20% 낮아지고, 인수 후 기업공개(IPO)를 통해 민영화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정부 지분이 10~20% 정도 하락한다고 밝히고 있다.


반면 우리금융은 산은금융이 우리금융을 인수해도 정부지분이 65% 아래로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대조적이다.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가 재정자금으로 공적자금을 갚는 것과 같다는 지적에 대해 김 위원장은 "프리(사전) IPO 등으로 일부 에쿼티(자산)을 매각해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정자금이 아닌 민간자금을 끌어들이겠다는 뜻이다.  


강만수 산은금융 회장이 주장하는 '토종은행론'에 동조하는 듯한 발언도 잠깐 나왔다. 김 위원장은 고승덕 한나라당 의원의 질의에 답하면서 "우리금융지주를 외국에 또 팔아야 하겠나"라고 말해, 산은금융이 국내 토종 자본으로서 우리금융을 인수해야 한다던 강 회장의 주장을 떠올리게 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는 "현재 조건으로는 국내은행이 인수전에 참여하기 힘들다는 뜻"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같은 해명에도 불구하고 금융권은 물론 국회 정무위 소속 국회의원들까지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에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