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국민 참여 재난대응훈련, 5월2~4일까지 실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외국인·800만 학생 전원 참여, 원전 방사능 누출 대응 훈련도 진행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지진 및 해일에 대비하기 위한 ‘2011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이 5월2일부터 4일까지 전국에서 실시된다. 특히 올해에는 처음으로 외국인도 훈련에 참여하며 원전 방사능 누출 대응 훈련도 진행된다.


28일 소방방재청은 재난유형별 대응시스템과 통합현장 지휘체계를 점검하기 위해 전국민이 참여하는 재난대응훈련을 내달 2일부터 3일간 실시한다고 밝혔다.

첫날인 2일에는 태풍과 호우와 같은 풍수해 대응훈련이 진행된다. 전국에 위치한 배수펌프장 273곳을 대상으로 실제 가동훈련이 이뤄진다. 집중호우 발생을 가정한 기상특보가 발령되면 관리인력의 현장 응소시간 및 펌프 가동 여부 등을 확인한다.


3일에는 서울 LG R&D센터와 경기 수원구치소, 평택 LNG 가스 저장시설 등에서 테러나 화재에 대비한 훈련이 실시된다. 이날 서울을 제외한 전국 5개 지하철역에서는 지하철 재난대응훈련이 진행된다.

마지막날인 4일에는 오전 11시 대전 인근에서 6.5규모의 지진발생을 가정해 훈련한다. 재난위험경보 사이렌이 울리면 실내에 있는 국민들은 1~3분 정도 테이블이나 책상 밑으로 몸을 숨기거나 방석 등으로 몸을 보호해야한다.


차량운행은 전면 통제된다. 운행 중인 차량은 경찰, 민방위대원 등 유도요원의 안내에 따라 갓길에 정차해 비상차로 확보에 협조해야한다.


전국 1만9000여개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학생 800만명은 동영상 재난안전교육을 받고 훈련에 참여한다. 지금까지 교육당국은 자율적으로 훈련에 참여해왔다.


동해안 울산과 강원, 경북, 제주 등 4개 시·도 해안가 16개 시·군·구에서는 지진해일 대피훈련이 실시된다. 해당 지역주민은 물론 관광객, 낚시객 등 외지인들도 의무적으로 훈련에 참여해야한다. 훈련이 시작되면 식당에서도 훈련 안내문을 붙여 훈련시간(20분간)에 식사를 할 수 없음을 알린다.


경북 울진원전에서는 방사능 유출을 가정해 지역주민을 8㎞ 이상 떨어진 대피소로 이동시키는 시범훈련을 한다. 대전 유성구에서도 ‘하나로’ 원자로를 대상으로 방사능 방재 훈련이 진행된다.


특히 올해에는 일부 주한외국공관의 요청으로 외국인도 훈련에 참여한다. 서울용산국제학교, 레인보우외국인학교에서 지진대피 훈련을 한다.


이밖에 올해에는 국민이 훈련 내용을 직접 평가할 수 있도록 ‘국민 참관단’과 ‘국민 평가단’이 운영된다. 이들은 훈련이 끝나면 간담회를 갖고 문제점 분석과 개선대책 마련에 협조할 예정이다.


박연수 소방방재청장은 “5일 어린이날을 앞두고 훈련이 실시돼 일부에서 불만이 발생하고 있지만 매년 4월말에서 5월초에 실시됐던 훈련”이라며 “올해에는 재보궐선거와 여름철 재해대책기간으로 인해 2일부터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훈련으로 다소 불편한 점이 발생하더라도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실시하는 훈련임을 감안해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한다”고 언급했다.

전국민 참여 재난대응훈련, 5월2~4일까지 실시 지역별 지하철 재난대응훈련 계획 / 소방방재청
AD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