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주유소협회 "폭리 시선 억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국제유가 올라 '인하분 상쇄' 주장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주유소업계가 정유사의 기름값 인하분을 판매가에 반영하지 않고 폭리를 취한다는 지적에 대해 "억울하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나섰다.


한국주유소협회는 21일 "국제제품가격이 정유사의 인하시기와 맞물려 상승함에 따라 정유사의 공급가격도 올라 인하분이 상쇄됐다"며 "주유소들은 3월말 재고분 소진에 따라 재구매에 나서는 시점인 4월 2주에 인하분이 상쇄된 기름을 공급받다 보니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인하효과가 미비한 것"이라고 밝혔다.

협회에 따르면 정유사 공급가격의 기준이 되는 국제제품가격은 3월4주 휘발유의 경우 배럴당 119.64달러에서 4월1주에는 125.72달러로 5% 인상됐고, 경유는 같은 기간 134.36달러에서 140.25달러로 4.3% 인상됐다.


국제제품가격은 4월2주에도 휘발유 127.12달러, 경유 140.78달러로 전주 대비 각각 1.4달러, 0.53달러 인상돼 정유사 공급가격이 추가 인상될 것으로 협회 측은 전망하고 있다.

주유소협회 관계자는 "주유소의 재고소진이 이뤄지는 4월2주를 기점으로 국제제품가격이 오르면서 정유사의 공급가격분이 상쇄됐다"며 "SK를 제외한 정유3사의 실제 공급가격은 3월말 대비 100원 인하된 가격이 아닌 휘발유 36원, 경유 20원 인하에 그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정유사의 공급가격 인하 조치로 주유소의 유통마진이 감소했다고 주장했다.


협회 측에 따르면 주유소의 휘발유 유통마진은 4월1주 ℓ당 124.4원에서 4월2주 116.3원(5.9%)으로 8.1원 감소했고, 경유 유통마진은 4월1주 94.6원에서 4월2주 86.2원(4.8%)으로 8.4원 감소했다.


주유소협회 정상필 이사는 "국제유가가 상승하는 상황에서는 기름값을 인하하더라도 상쇄효과로 인해 소비자가 체감하는 인하폭은 적을 수밖에 없다"며 "국제유가 고려없이 '주유소만 배불렸다'는 주장은 적자에 허덕이는 주유소업계의 현실을 외면한 것"이라고 말했다.




서소정 기자 ss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