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방사능 한파' 노량진, 일본産 생태 "왜 팔아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설명해줘도 "찜찜해"
매출 반토막 값은 폭등


[아시아경제 이민아 기자, 정준영 기자, 오주연 기자] "뭘 자꾸 물어? 방사능 터지기 전부터 보관하고 있던 거니까 국내산이랑 매한가지라니까!"

"아니, 그럼 국내산이라고 써붙이시지 왜 일본산이라고 적어놨어요? 아유~께름칙해. 그냥 동태나 사가자"


지난 18일 오후 2시 경 서울 노량진수산시장. 생태와 대구만 주로 취급하던 J수산 앞에서 한바탕 승강이가 벌어졌다. 40대 주부 두 명이 일본산 생태에 대해 계속 미심쩍어하자 J수산 주인이 역정을 낸 것. 요즘 들어 이곳에서는 이런 진풍경이 자주 연출된다.

옆에 있던 한 상인은 "일본산은 이제 들어오지 않는다고 언론에서 말 좀 해줘. 손님들이 와서 제일 먼저 묻는 말이 일본산 아니냐는 말이야. 하도 물어보는 통에 아예 써붙여 놨어"라며 기자에게 하소연했다.


노량진 수산시장에는 그동안 일본에서 수입해오던 도미, 고등어, 갈치의 모습이 사라졌다. 유일한 일본산 수산물은 100% 수입에만 의존하는 생태뿐이었다.


상인들에 따르면 한때 일본산에 대한 우려 때문에 한시적으로 러시아산 생태를 수입한 적이 있지만, 맛이 떨어져 수입을 중단했다는 것. 생태는 전량 전수조사를 거치기 때문에 일본산이라고 해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는 게 상인들의 설명이다.


고등어도 일본산 대신 노르웨이산을 수입한 적이 있지만 역시 중단돼 대부분 국내산으로 대체됐다.


"일본산 활어는 이제 없어요. 원산지 표기하는 팻말인데 보다시피 일본산 항목에는 비어 있잖아. 예전에는 일본산 도미로 회 떠 팔았는데 이제는 국내산 양식이나 중국산으로 돌렸지. 방사능 때문에 일본산은 거들떠도 안봐요"


노량진에서 횟집을 운영하는 함평상회 박득수 씨는 "검역 단계에서부터 일본산은 수입되지 않기 때문에 노량진에 일본산 활어가 있을 리 만무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하지만 일본 방사능 공포가 확산되면서 이곳의 매출은 뚝 떨어지고, 생선가격은 폭등조짐을 보이고 있다.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30여년째 장사를 하고 있다는 임순람 씨(68)는 "예전으로 치면 매출이 40%밖에 안 나온다"고 하소연했다. 갈치, 고등어 등 일본산이 안 들어오는데도 불안을 느낀 소비자들이 국내산까지 외면하면서 매출이 '반토막'났다는 게 임씨의 설명이다.


임씨는 이어 "일본산이 안 들어오다보니 전에 8000원 하던 오징어가 지금은 1만2000원까지 뛰고, 갈치는 만원, 오징어도 4마리에 만원까지 간다"고 털어놨다.


노량진수산주식회사의 김덕호 기획총무팀 담당자는 "일본 대지진과 방사능 사태가 터지고 난 뒤 집중타격을 받은 것은 수산물, 그 중에서도 노량진수산시장"이라며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처음 들여올 때 전수검사를 하고, 노량진 내에서 자체적으로도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 방사능 검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고 말했다.




이민아 인턴기자 malee@
정준영 인턴기자 foxfury@
오주연 인턴기자 moon17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