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OPEC 회원국 고(高) 유가 옹호할 수 밖에 없는 이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들이 현재의 유가 상승세를 진정시키기 위해 석유 증산 등 별도의 대책을 검토하지 않고 있는데 숨은 의도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19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원유시장 전문가들은 OPEC 회원국들의 늘어난 사회적 비용 지출이 유가 상승을 옹호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중동, 북아프리카에서 민주화 시위가 계속되면서 이를 진압하고 치안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 지출이 늘었고, 각국 정부가 민심을 달래기 위한 사회보장비용 지출에 더 많은 돈을 할당하면서 유가 상승을 눈감아 주고 있다는 주장이다.

배럴당 70~80달러의 유가 수준이 적절하다고 주장했던 세계 최대 석유 수출국 사우디아라비아는 돌연 태도를 바꿔 고(高) 유가를 옹호하고 있다. 원유 가격이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야 적당하다고 주장하는 이란, 베네수엘라 와 함께 원유 가격 하락 압력을 주는 원유 증산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2월 말까지만 해도 증산을 약속했던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 생산량은 2월 하루 평균 912만5000배럴에서 3월 829만2000배럴로 약 80만배럴 줄어든 상태다.

WSJ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최근 석유시장은 '초과공급' 상태에 있다면서 감산 의지를 재확인, 유가 하락에 제동을 걸고 있는 이례적인 행동이 폭동 진압으로 축나고 있는 재정 곳간을 채우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두 달 전 사우디아라비아는 1290억달러를 일자리창출,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 고용 촉진 등 사회보장 지출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알제리, 이란 등 다른 산유국들도 사우디아라비아를 따라 폭동을 잠재우기 위해 비용 지출을 늘릴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OPEC 회원국들이 원유 수출로 재정 곳간의 대부분을 채우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재정지출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유가 상승이 불가피하다. 현재 산유국들의 원유 수출 의존도는 이란이 80%, 사우디아라비아가 85%, 알제리아가 98%를 차지하고 있다.


워싱턴 소재 국제금융협회(IIF)는 "사우디아라비아 재정 균형을 맞추기 위한 원유 가격 적정선이 지난해 배럴당 68달러에서 올해 88달러, 2015년 110달러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선미 기자 psm82@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