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웰빙식품 왕도토리신품종 대량증식길 ‘활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산림과학원, ‘금수라 1호’ 농·산촌 고소득작목으로 개발…서천군에 증식기술, 관리법 넘겨줘

웰빙식품 왕도토리신품종 대량증식길 ‘활짝’ 열매가 촘촘히 맺혀 있는 신품종 금수라 1호.
AD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상수리나무 도토리보다 무게 약 1.6배, 수확량 약 2.7배 많은 상수리나무 왕도토리 신품종 ‘금수라 1호’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증식법 및 관리법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8일 열매가 크고 수확량이 많은 왕도토리 개발을 위해 1995년부터 품종개발연구에 나서 2009년까지 개량 대상형질을 종합분석하고 안정성 검정을 해 우량품종 ‘금수라 1호’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금수라 1호’의 안정적 보급을 위해 기존 접목법의 묘목생산율(30~40%)보다 두 배 높은 저위변형활접법(60~75%) 및 관리법을 개발했다.


웰빙식품 왕도토리신품종 대량증식길 ‘활짝’ 바깥 껍질을 벗긴 '금수라 1호' 열매.

새 접목증식법은 높은 묘목생산율은 물론 접목불화합성이 아주 낮아 ‘금수라 1호’를 대량 생산할 수 있었다고 연구진의 설명이다.

‘금수라 1호’는 적응력이 뛰어나 전국의 휴경지, 야산 등지에서 쉽게 잘 자라 생산원 조성과 관리가 쉬운 장점을 갖고 있다. 도토리가 둥글고 무거우며 크다. 1개당 무게와 크기는 일반 상수리의 평균보다 무게가 많이 나가고 크다.


국립산림과학원은 8일 신품종 ‘금수라 1호’를 국내산 도토리원료의 약 50% 이상을 가공용으로 쓰는 서천군과 통상실시권 협약을 맺고 증식기술 및 관리법을 넘겨줬다. 이어 서천군공무원, 주민, 유관기관 직원 등 300여명과 서천군 판교면에서 ‘금수라 1호’ 등 14개 품종의 나무를 5ha에 심었다.


서천군은 국립산림과학원과의 통상실시권 협약으로 친환경 국내산 도토리의 안정적인 수급과 주민소득증대를 위해 도토리생산원 50ha를 만들기로 했다.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는 “최근 웰빙음식, 약용 등 기능성식품으로 각광받는 ‘금수라 1호’가 일손이 달리는 농·산촌에서 새 고소득 대체작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왕성상 기자 wss404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