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7일경 방사능 물질 국내 상륙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7일경 방사능 물질 국내 상륙
AD

[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 오는 7일경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누출된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 남쪽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과 기상청 등은 4일 브리핑을 갖고 7일경 방사능 물질이 남서풍을 통해 국내 유입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상청 김승배 대변인은 "일본지역에서 고기압이 발달하면서 일본 동쪽에서 동중국해를 거쳐 우리 나라에 기류가 유입될 것"이라며 "이러한 남서풍은 봄철 자주 관찰되는 대기 현상"이라고 말했다.

윤철호 KINS원장은 "방사능물질 유입경로는 캄차카 반도와 북극을 통해 돌아오는 것과 일본 남쪽에서 남동풍을 타고 오는 것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 그간 알려졌던 유입 경로와는 다른 '새로운 경로'인 셈이다.


이 날 KINS측이 공개한 시뮬레이션 결과 일본 동쪽에서 발생한 기류가 우리나라에 도달하기까지는 3~4일이 걸릴 것으로 예측됐다.

윤 원장은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방사능 물질 농도는 극미량"이라며 "후쿠시마 원전 주변의 방사능 농도도 점점 옅어지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7일에는 남쪽에서 올라온 따뜻한 공기와 북쪽에서 내려온 찬 공기가 부딪히며 전국적으로 상당한 양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비를 피할 필요가 있느냐'는 질문에 기상청 김 대변인은 "대기오염 때문에라도 비는 안 맞는게 좋다"라며 "여기 극미량의 방사능 물질이 더해지는 것 뿐"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지상에서 3Km 이상 높이에서는 계속 편서풍이 불 것"이라며 "우리나라 주변에서 부는 공기들은 거의 다 서풍"이라고 말했다.


한편 노르웨이 대기연구소(NILU)가 6일 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바람이 상륙할 것으로 분석한 것에 대해 윤 원장은 "연구소 홈페이지에 조악한 분석이니 참고만 하라는 경고가 있다"며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온 방사능 물질 양을 체르노빌 수준으로 가정하고 분석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노르웨이 대기연구소의 경우 한반도 주변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기상청·KINS와 달리 전 지구를 대상으로 해 정확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김수진 기자 sj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