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금융위기 이후 선진국과 신흥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정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의 경우 기존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거나 강화하는 반면, 신흥국이나 자원수출국들은 이를 축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지난해 1분기까지만 해도 당초 예정대로 일부 비전통적 조치를 종료했으나, 2분기 이후 일부 남유럽국가의 재정문제 등이 불거지자 사상 최저 수준의 정책금리를 유지하거나 더욱 낮췄기 때문.
미 연준(FRB)의 경우 이미 매입한 주택저당증권(MBS) 등 원금상환액을 국채에 재투자하고 6000억 달러 규모의 장기국채를 추가매입하는 '2차 양적완화(QE2)' 조치를 추진했다.
일본은행 역시 지난해 3조 엔 규모의 '성장기반 강화지원 신자금대 출제도'를 도입했고, 유럽중앙은행(ECB)도 지난해 2분기 중 3개월물 RP거래를 고정금리부 전액할당방식으로 전환했다.
반면 신흥국의 경우는 인플레 우려로 인해 통화 완화기조를 축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은은 "신흥국 국가의 중앙은행은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정상화하기 시작해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정책금리 인상을 본격화했다"며 "중국, 인도, 브라질 등 금융시장 발달이 미흡한 국가들은 심각한 물가불안과 통화팽창에 대응해 지급준비율 인상과 같은 양적 조절수단도 병행했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