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국산 명품무기로 꼽히는 K2전차(흑표)의 핵심부품인 파워팩(Power Pack.엔진+변속기)을 국산화 제품을 적용하도록 했다.
방위사업청은 23일 "국산 파워팩 개발상황을 고려해 초도 전력화 시기를 2012년에서 2013년으로 순연해 국산 파워팩을 적용하도록 계획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K2전차는 합동참모본부가 지난 1992년 소요결정을 내리고 국내 방산기업인 두산인프라코어와 S&T중공업이 핵심부품인 파워팩 개발을 맡기로 했다. 두산인프라코어가 담당한 디젤엔 진은 1500마력짜리 엔진이며 S&T중공업에서 개발한 변속기는 자동제어방식의 전진6단, 후진3단 변속기다.
하지만 지난 2009년말 구동계 베어링 등 결함이 발생했고 보완을 거쳐 2010년 9월 결함은 해결했다. 그해 12월 6일에는 동력장치의 냉각속도 문제로 엔진이 과열되는 현상이 발생 했다. 군당국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1월 11일 '합동조사반'을 구성해 파워팩 개발기간을 연장하고 전력화 지연을 막기위해 해외 파워팩 수입을 검토하기로 했다.
하지만 방위사업청은 23일 오후 김관진 국방장관 주재로 제48차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 회의를 열고 초도 생산분에 대한 파워팩적용은 국산을 계속 개발하되 금년 10월 개발시험평가기준을 충족치 못할 경우에는 해외도입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또 2012년 3월까지 운용시험평가 중간 점검결과 중대한 결함이 발생때에도 해외도입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의결했다.
방사청에 따르면 최근 국산 파워팩 개발시험 평가 결과 88개 항목 중 70개 항목이 기준을 충족했고 18개 항목(14개 미실시항목 포함)은 기준미달했다. 14개 항목은 시험평가가 이 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4개 항목만 기준미달됐으나 방사청은 미실시한 것까지 포함해 18개 항목은 기술보완 후 재시험 평가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됐다.
하지만 군 일각에서는 '파워팩 국산화"를 찬성하는 의견도 거셌다. 이들은 국산화를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투자금액 회수 ▲수출판로 개척 ▲국산화 장기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군당국이 K2전차 파워팩을 국산개발로 결정한 것은 가격때문이다. 독일제 파워팩은 대당 16억, 국내개발품은 11억정도다. 초도 양산분중 100대에 독일제품을 사용한다면 500억의 예산이 더 투입돼야 한다. 여기에 종합군수 지원, 정비비, 창정비용 등을 감안한다면 2000억원이상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국산화를 위해 투자한 금액을 1175억(정부 725억, 업계 450억)을 모두 날릴 판이다.
수출도 비상이다. 터키와 체결한 총 4억달러 규모의 기술이전수출계약도 수입파워팩 수출제한규정에 묶여 취소될 가능성이 높다. 육군 주력전차인 K1전차도 수입 파워팩 장착에 1 대도 수출하지 못했다.
군내부에서 파워팩 국산화를 주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이미 보급된 K1전차 수가 충분하기 때문에 K2전차의 전력화는 급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파워팩만큼은 국산화를 시도 해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군 당국도 전력이 급하지 않다는 이유로 전력화예정 K2전차 600대를 최근 수정해 297여 대로 대폭 줄였다.
방위사업청 기동전력사업부 황종수 부장(육군 준장)은 "2012년 초도양산을 하기 위해서는 올해 10월 운영시험평가를 해야하고 결국적으로 수입밖에 방법이 없었다"며 "2013년으로 K2전차의 전력화기간을 순연하면 대안을 만들 수 있었다"고 말했다.
황 부장은 또 전력화기간 순연에 대해 "합참, 소요군의 우려가 있었으나 국산파워팩에 대한 확실성, 해외도입 파워팩 협상결과, 국내 협력업체의 가동률, 수입파워팩의 정비, 운영지원 등 종합적인 문제를 고려해 전력화 순연으로 결정내렸다"고 말했다.
이날 방추위에서는 고고도 정찰용 무인항공기 사업추진기본전략(안)과 장거리공대지유도탄 사업추진기본전략 수정(안)도 의결했다.
고고도 정찰용 무인항공기 사업안에 따르면 고고도정찰용 무인항공기를 확보하는 사업의 획득방법은 정부가 계약방식인 대외군사판매방식(FMS.정부보증)을 통한 국외구매로 결정됐다. 또 장거리공대지 유도탄 사업안은 상업구매간 경쟁을 통해 국외구매로 결정하고 추가소요결정된 2차소요는 사업추진기본전략을 별도로 수립해 추진하기로 했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