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보건의료산업 미국 진출위해 민-관이 뭉쳤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22일 '콜럼버스 프로젝트' 민관 시장개척단 출범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국내 제약회사, 의료기기업체 등 보건의료기업의 북미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민관 시장개척단이 출범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오후 4시 복지부 대회의실에서 국내 보건의료(HT·Health Technology) 기업의 북미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콜럼버스 프로젝트' 참여기업 출범식을 연다고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업은 녹십자·대웅제약·동아제약·셀트리온 등 제약회사(21곳)와 나노엔텍·루트로닉·메디슨 등 의료기기업체(17곳),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나드리화장품 등 화장품업체(3곳)를 포함 총 41곳이다.


콜럼버스 프로젝트는 HT기업들이 세계시장의 1.3%에 불과한 내수시장을 벗어나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하는 특화전략이 필요함에 따라 추진됐다. 오는 2020년까지 HT글로벌 세계 7대 강국으로 도약하고 미국 수출시장 점유율을 현재 1.1%에서 1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민관협의회를 구성하고, 부처 간 연계 등을 통한 범부처 지원 등을 할 계획이다. 아울러 글로벌성 향상(북미 연구개발 지원시 가점·지식재산권 전담관리 분석·특허 컨설팅 지원), 해외품목 인허가 지원(인허가 파트너회사 발굴·컨설팅 및 획득비용 지원 등), 현지 마케팅(북미시장 및 수출입 정보제공·시장개척단 파견지원·해외박람회 참가지원) 등 3개 분야에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미국은 보건의료산업 40%를 점유하는 등 세계를 주도하는 시장으로, 이곳에서 인허가를 획득하거나 시장 진입에 성공할 경우 타 시장으로 진출하기 유리하다"며 "정부는 민관 시장개척단 편성, 글로벌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해 이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복지부는 'HT기업 해외진출 지원정책 핸드북'을 제공하고, 범부처 지원·연계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다음달 1일에는 미국 뉴욕에서 한·미 HT 투자포럼을 개최, 국내 기업의 글로벌화 전략, 한미 HT 산업분야의 협력방안 및 투자동향을 소개하는 자리도 마련할 예정이다. 콜럼버스 프로젝트 추진을 가속화하기 위해 2011 BIO US, BIO KOREA 등을 통해 네트워킹과 파트너십 구축 등도 강화하기로 했다.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은 "성공적인 북미진출을 위해서는 미국시장 및 관련 파트너사에 대한 정확한 정보획득, 기업의 임상시험능력 제고, 인허가 관련 역량 강화, 마케팅 업무 제휴 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