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왕회장이 웃었을까' 정몽구-현정은 소통의 길 열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김혜원 기자, 조슬기나 기자] '왕 회장이 웃었을까.'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 타계 10주기를 계기로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잦은 만남을 가졌다. 열흘 사이 세 차례에 걸쳐 얼굴을 맞댔다. (시)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지 10년이라는 세월이 주는 각별함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터다. 고인이 된 왕 회장이 마련한 자리에서 정 회장과 현 회장이 오랜 앙금을 풀기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짙었던 것도 이 때문이다.

21일 정 회장과 현 회장은 고 정 회장의 기일을 맞아 하남시 창우리 선영을 나란히 찾았다. 타계 10주기를 기념해 마련된 행사 명목으로 같은 장소에 모인 것은 이번이 마지막이다.


이날 정 회장은 당초 일정보다 늦은 오전 9시45분경 선영에 도착, 1시간여 참배를 마친 뒤 밝은 표정으로 "감사합니다"라는 짤막한 말을 남긴 채 떠났다. 이후 5분 후 현 회장이 뒤따라 선영을 찾아 그룹 주요 인사 및 가족들과 참배를 마쳤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과 정지이 현대유엔아이 전무도 각각 배석했다.

특히 창우리 선영에는 생전 대북 사업에 온 열정을 쏟았던 고 정 회장의 넋을 기리기 위해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현 회장 앞으로 보낸 추모 구두 친서와 화환이 배치돼 각별한 의미를 더 했다.


정 회장과 현 회장은 전날 밤 청운동 고인의 자택에서 함께 제사를 지냈고 앞서 지난 10일 열린 추모 사진전과 14일 추모 음악회에서도 범 현대가는 총 집결하는 저력을 보였다. 추모 사진전에서 정 회장은 현 회장에게 어색한 악수를 건네는 등 화해의 손길을 내밀기도 했다.


왕 회장의 10주기는 그간의 가족 불화를 잠재울 만한 절묘한 타이밍이었다는 분석이다. 갈등의 도화선이었던 현대건설 인수전이 정 회장의 승리로 최종 결론 난 상황에서 현대건설이 보유한 현대상선 지분의 향방에 대한 합의만이 관건으로 남았기 때문이다. 양 측의 구체적인 극적 합의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지만 적어도 10여년 쌓인 앙금을 푸는 계기가 됐을 것이란 게 중론이다.


현 회장은 현대상선 지분을 현대그룹에 넘겨주는 것을 포함한 화해 제안을 정 회장에게 요구하고 있다. 반면 정 회장은 현대상선 지분을 다른 곳에 매각해 현대그룹의 경영권을 위협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하면서도 굳이 현대그룹에 넘겨줄 의향도 없다고 했다. 왕 회장의 10주기를 전후로 화해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법적 분쟁은 일단락됐지만 현대상선 지분을 둘러싸고 여전히 불씨는 남아 있는 셈이다.


재계 관계자는 "왕 회장 타계 10주기를 맞아 범 현대가 내부에 쌓인 묵은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변곡점이 되길 기대하는 시각이 많다"면서 "당장 구체적인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보다 향후 소통의 길을 열었다는 데 의미를 둬야할 것"이라고 전했다.




최일권 기자 igchoi@
김혜원 기자 kimhye@
조슬기나 기자 seu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