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차이완시대 본격화..중-대만 무관세 발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올해부터 중국에서 수입하는 대만산 108개 제품에 대해 관세가 철폐됐다. 중국을 최대 수출 교역국으로 삼고 있는 한국과 무관세, 감세 혜택을 적용 받게 되는 대만과의 경쟁이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2일(현지시간) 중국 차이나데일리는 지난해 6월 중국과 대만이 체결한 경제협력기본협정(ECFA)이 발효되면서 2011년부터 양안간 무역 관세가 면세되거나 감세된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대만산 539개품목에, 대만은 중국산 267개 품목에 대해 감세 혜택을 적용한다. 이 중 대만산 108개 품목은 무관세로 중국으로 수출되며 양안은 향후 2년 안에 나머지 품목에 대한 관세도 모두 철폐할 방침이다.


예를 들어 감세 품목 중 하나인 대만산 과일은 그동안 중국으로 들어갈 때 수출관세 11~12%가 붙었지만 세율이 5%로 대폭 낮아졌다. 대만의 대(對) 중국 과일 수출은 지난해 1~11월 974만달러 규모, 연 수출 증가율이 129.5%에 달할 만큼 양안 무역에서 비중이 컸다.

대만과 가까운 중국 샤먼은 이번 관세분야 협력이 양안과의 교역 활성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아예 ECFA 전용창구를 만들어 관세, 면세 품목의 선적이 빠르게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를 취했다. 중국 세관행정 부서인 해관총서도 각 지역 정부에 농산물, 자동차부품, 섬유 등 양안 교역이 활발한 품목들을 원활하게 선적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 달라고 요청했다.


중국 국무원은 ECFA 발효에 따라 대만은 연간 4억7200만달러(약 5400억원)의 관세를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차이나데일리는 이에 대해 "올해 중국과 대만이 교역 부문에서 경제협력을 위한 첫 걸음을 옮겼으며 중국으로 많은 제품을 수출하는 일본, 한국과의 경쟁에서 대만이 조금 더 좋은 위치에 설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줬다"고 평가했다.


한편 중국과 대만은 관세분야 협력 뿐 아니라 서비스 시장 경계도 허물었다. 중국은 대만 기업들에 병원, 은행, 보험 등 11개 서비스 부문 진출을 허용했다. 대만도 중국 본토 기업들을 위해 9개 서비스 부문을 개방했다.


대만 단장(淡江)대 대륙연구소의 장우웨 소장은 "서비스 부문이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으로서는 양안에서 서비스 시장 경계의 벽이 허물어지고 있는 것이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양안의 서비스 부문 시장 개방은 대만에 26만개의 신규일자리 창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박선미 기자 psm82@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