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악취때문에"…경기도 비관리지역 악취민원 증가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악취 비관리지역은 06년 935건 2009년 1173건으로 증가

[아시아경제 김정수 기자] 경기도내 악취 비관리지역에서 악취민원이 들끓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 2005년 5월 16일부터 안산 반월공단과 시화 시화공단, 안산반월도금단지, 평택포승지구 등 4개 지역을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경기도는 악취관리지역의 총 사업장 3만5784개소 중 매년 4000개소를 지속적으로 지도점검해 150개 사업장에 악취발생시설에 대한 개선명령하는 한편 사용중지 등 행정처분하는 등 지속적인 악취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경기도는 악취 근원적 해결을 위해 악취방지시설 설치 및 개선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도는 지난 2006년부터 올해까지 285개 업체에 도비와 시비를 포함해 100억여원을 지원했다.

또 도는 지난 2000년부터 올해까지 5억6000만원을 투입해 악취유발사업장 3733개 업체를 대상으로 환경전문가 무료 환경기술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그 결과 관리지역의 악취민원은 지난 2006년 752건이던 것이 2009년 289건으로 60%가량 줄었다.


반면 비관리지역은 악취민원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비관리지역 악취민원은 지난 2006년 935건이던 것이 2009년 1173건으로 25%정도 늘었다.


이는 경기도의 악취관리 정책이 관리지역에만 선택과 집중됐기 때문이다. 결국 기존 체계로는 악취민원 해결의 한계를 드러낸 것이다.


이에 경기도는 악취 비관리지역 내 상습민원 지역은 시장군수가 요청하면 악취관리지역으로 적극 지정해 관리할 방침이다.


실제 경기도는 지난달 오산시장이 요청한 오산시 누읍동 공업지역을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위해 이해관계인의 의견수렴을 거쳐 관리지역으로 지정했다.


또 도는 양주시 하패리와 동두천시 상패동 지역은 악취관련 용역결과가 나오는 내년 3월 결과에 따라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특히 경기도는 악취관리지역 외 민원사업장은 신고대상시설으로 의무화해 과ㅓㄴ할 방침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내년부터 2015년까지 도비 28억9000만원, 시비 28억9000만원, 자부담 38억6000만원 등 총 96억4300만원을 투입해 악취발생사업장 140개사의 악취방지시설 교체 등 시설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정수 기자 kjs@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