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연평도발]북한의 피해파악 왜 안되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의 연평도 도발에 우리 측의 대응사격이 북한에 얼마만큼 타격을 가했는지 파악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북한군의 피해 규모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군당국이 구체적으로 어떤 인명손실과 타격 피해를 입었는지 파악쉽지 않은데 따른 것이다.


26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지난 23일 북한군이 연평도 내륙과 해안에 170여발의 포격을 가해와 해병대 연평부대는 K-9 자주포로 총 80여발의 조준 대응사격을 실시했지만 아직 정확한 북한의 피해는 집계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군당국은 북한의 피해상황을 포착하기 위해 정찰위성, 항공정찰을 총동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23일 이후 북한 강령반도 지역 상공엔 구름이 끼어 있는 등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현재 북한측은 우리측의 반격이후 보안유지를 위해 일체의 유무선 연락을 중단하는 '통신침묵'상황에 들어가 감청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우리군의 반격때는 "엄청나게 맞고 있다. 피해가 크다"고 상부에 보고하는 북한 무도기지의 통신내용도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군은 북한측 피해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움직임이 힘들어지자 K-9자주포는 1발의 피해지역(50북측이 발포한 화력무기에 비해 국군의 K-9 자주포의 위력이 훨씬 크고 목표지점을 정확하게 타격해 북한의 피해가 상당할 것이라는 형식적인 답변만 되풀이하고 있다.


생각보다는 북한측의 피해가 적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군당국은 우리군의 반격때 80발에 달하는 대응 사격을 펼치긴 했지만 해안포 진지를 직접 공격하는 방법보다 막사를 겨냥했다고 밝힌바 있다. 따라서 북한이 이를 예측하고 주둔지 막사를 비우고 갱도나 동굴진지에 몸을 숨겼다면 피해가 크지 않을 것이란 예측이다.


군사 전문가는 "북한은 지난 1999년과 2002년 1,2차 연평해전때도 사상자를 공개하지 않았다"며 "정확한 피해를 알 수는 없지만 생각외 적은 피해현황이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함경북도의 한 대학생 소식통은 26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출연해 "북방한계선에서 큰 교전이 일고 있다는 소식이 사건이 일어난 직후 김일성 종합대학 학생들에게 알려졌다"며 "자칫 전면전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긴장감이 돌면서 한때 대학 전체가 크게 술렁거렸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또 "부상당한 소대장을 옮기는 과정에서 남한군의 포격에 질겁한 3명의 병사들이 소대장을 그 자리에 놓아둔 채 달아나 전투가 끝난 후 민가에서 이들 도주병들을 체포했으며, 이 소식에 대노한 김정은이 도주병들을 즉각 ‘동지심판’에 넘길 것을 명령했다"고 말했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