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전자, '정밀금형 개발센타'로 생활가전 1위 도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삼성전자, 11일 광주광역시서 '정밀금형개발센터' 준공 기념식 개최

[아시아경제 박성호 기자]생활가전 글로벌 1위를 목표로 하고 있는 삼성전자가 생활가전 생산거점인 광주광역시 첨단산업단지에 ‘삼성전자 정밀금형 개발센터’를 건립하고 11일 준공 기념식을 가졌다.


삼성전자는 이번에 준공된 정밀금형개발센터를 통해 금형부문에서 핵심역량을 확보, 국내 금형 산업 수준을 한 단계 높이고 금형기술의 ‘글로벌 리더’ 도약의 주춧돌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강운태 광주광역시장 등 내외빈 4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기념식에서 최지성 삼성전자 대표이사 사장은 "우수한 금형기술은 제품의 경쟁력, 더 나아가서는 사업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역량"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정밀금형개발센터 준공을 계기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금형기술을 확보해 협력사와 그 기술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것은 물론, 지역 내 산·학·연(産·學·硏)협업을 통해 '금형 클러스터'를 활성화함으로써 동반성장의 모범적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밀금형센터는 약 1400억원이 투자됐으며 연면적 1만9590㎡(5929평), 지상 2층 규모로 건립됐다.

삼성전자가 정밀금형개발센터를 건립한 것은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디자인 리더십, 원가경쟁력 등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금형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 센터는 세계 최고 수준의 첨단설비를 갖추고 설계·제작·시험·사출 등 금형 관련 전 과정의 솔루션을 담당해 TV·냉장고·프린터·LCD 등 중대형 제품에 적용될 금형 신기술 개발의 메카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이 센터를 통해 지역 소재 협력사, 주요 대학 및 연구소와의 파트너십을 구축해 금형전문 인재 육성, 원천기술 개발, 핵심기술 공유 등 다양한 협력모델을 운영함으로써 광주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금형 클러스터' 활성화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 정밀금형개발센터'는 ▲금형제작 전(全) 공정 자동화를 통한 금형제작 리드타임 단축 ▲신공법·신기술 개발로 생산성 향상 ▲고(高)정밀 금형개발을 통한 제품품질 혁신 ▲금형 관련 원천 기술 확보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이를 통해 확보된 기술과 노하우를 협력사에 공유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금형업체가 많이 배출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협력사의 금형 관련 주요 인력을 위탁교육하고 필요시 기술고문을 파견해 공정개선을 지원하는 등 협력사 금형 인력 육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며, 금형가공장비 운영기술, 금형설계 자동화·금형생산 정보관리 시스템 등 생산성 혁신기술 등을 협력사에 전수할 방침이다.

학교 연계 활동으로는 전남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교 등과 금형 관련 맞춤형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채용으로까지 연결시킴으로써 지역 소재 대학생의 취업기회 확대와 우수 금형 인력 육성에 기여할 예정이며 지역 주요 대학 및 연구소들과 함께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산학과제 추진도 병행할 예정이다.


한편 강운태 광주광역시장은 축사에서 "금형 산업은 모든 제조업의 기초가 되고 전후방 효과가 큰 산업인 만큼 삼성전자 정밀금형개발센터를 중심으로 금형 중소기업들이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면 우리 지역이 세계 최고의 정밀금형 허브가 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이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해 나갈 것임을 강조했다


박성호 기자 vicman1203@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성호 기자 vicman1203@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