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개포지구 재건축, 4만가구 규모 ‘미니신도시’로 탈바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강남권 최대 단지인 개포지구 아파트 규모가 상한 용적률 250%를 적용받아 4만815가구 규모의 미니신도시급으로 탈바꿈한다.


지난 1980년대에 준공된 개포택지개발지구는 2002년 6월 지구단위계획을 결정한 바 있다. 그러나 평균상한 용적률 200%라는 조건으로 인해 32개 아파트 단지의 재건축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강남구는 2007년 5월부터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위한 용역을 착수했다. 특히 이 기간 동안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자문 등을 이행하고 관계부서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32개단지 정비계획 가이드라인을 포함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을 작성했다.


◇상한 용적률 ‘250%’

이번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지역 주민들의 관심사인 2종일반주거지역의 용적률은 기부채납을 조건으로 최대 235%로 결정됐으며 임대주택을 건립 시에는 250%까지도 달성 가능하다.


평균 층수는 2종일반주거지역이 18층으로 정해졌지만 최고 35층 안팎으로 가능하며 3종 일반주거지역의 층수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서울시의 건축심의 기준을 살펴보면 최고 50층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현재 안전진단을 통과한 개포주공1~4단지 및 개포시영,일원동 현대 등 총 1만2985가구 규모의 5층 이하 저층 7개 단지는 기존 세대수보다 최대 15% 증가한 1만5000가구선에서 지어질 예정이다.


개포주공5~7단지,개포현대아파트 등 제3종 일반주거지역의 상한용적률은 250%로
결정됐다.


그러나 기부채납을 통한 임대주택 등을 추가로 지을 경우에는 3종일반주거지역의 용적률은 300%까지 늘어날 수 있다.


◇착공은 언제쯤?


이번 재정비안에는 대모산에서 양재천으로 이어지는 통경구간 설정, 양재천 특화배치구간 조성, 교육특화밸트 및 커뮤니티 생활가로 조성, 다양한 주거유형 구성 등의 내용도 포함됐다.


특히 강남구는 개포지구를 지나는 선릉로 주변을 초·중·고교가 집중된 교육특화벨트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양재천변에는 4~5층 규모로 계단 형태의 테라스형 주택을 배치하는 등 다양한 주거유형도 도입할 예정이다.


강남구청 주택과 정종학 과장은 “오는 12월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최종 고시를 목표로 지역주민의 숙원사업인 재건축이 빠른 시일 내에 이뤄질 수 있도록 관계부서와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5층 이하 저층 7개 단지는 사업승인 등의 과정을 거쳐 2012년 하반기에나 착공이 가능하다”며 “3종 주거지역은 앞으로도 2~3년이 지나야 안전진단을 통과하는 단계에 들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현재 조합이 설립된 개포주공1단지는 이번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에 대한 주민공람이 완료되면 직접 정비계획을 세울 수 있다. 반면 개포 주공2∼4단지 등은 구청이 정비계획을 수립해 서울시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강남구청은 개포택지개발지구 공동주택지 지구단위계획을 재정비하기 위해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을 오는 13일부터 27일까지 열람공고를 실시하기로 했다.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