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중국發 '임금파업'과 기업의 선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아시아경제 ]중국에서 시작된 임금인상 요구와 파업이 동남아 국가로 확산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임금파업이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 등으로 번지면서 현지의 다국적 기업들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진퇴양난의 처지에 빠졌다는 것이다.(5일자 아시아경제 1면) 이는 중국과 동남아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는 우리 기업들에도 심각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 되기까지는 풍부한 노동력과 함께 저임금이라는 메리트가 작용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저렴한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이 세계 시장을 휩쓸면서 중국 경제는 급신장을 거듭했다. 성장은 중국의 경제환경과 근로자의 의식을 바꿔놓았고 메리트로 작용했던 저임금이 이제 부메랑이 되어 외자기업들을 겨누는 형국이 된 것이다.

중국 근로자들과 다국적기업들 간의 임금마찰은 예견된 사태다. 급성장을 따르지 못하는 임금인상의 후행성에서 비롯된 성장통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팍스콘 연쇄자살 사건에서 보듯 다국적 기업들의 횡포가 중국의 노동자들을 자극한 측면도 강하다. 연초부터 봇물처럼 터진 근로자 파업시위의 결과로 중국 대도시의 제조업체 최저임금은 올 들어 평균 20%나 올랐다고 한다.


문제의 심각성은 중국의 고임금화가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라는 점이다. 개방경제를 채택했다고 하나 중국은 친노동자 정책을 펴는 엄연한 사회주의 국가다. 현실적으로 급성장에 따른 극단적인 양극화 현상은 중국의 커다란 고민이다. 앞으로 5년 내 임금이 2배, 10년 후에는 4배 이상 오를 것이라는 예측에 무게가 실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를 감안하면 중국 진출 외자기업들이 중국보다 임금이 낮은 동남아 쪽으로 눈길을 돌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베트남, 캄보디아 등도 저임금을 앞세워 적극적인 외국기업 유치 정책을 펴 왔다. 그런데 이번에 중국발 임금파업의 불길이 동남아로 옮겨 붙은 것이다. 외자기업의 입장에서는 퇴로가 없어진 꼴이 된 셈이다.
 냉정한 판단으로 전략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다. 중국만 해도 저임금 이상의 가치가 존재하는 것이 분명하다. 거대시장이 있고, 생산 인프라 등이 비교우위에 있다. 깊이 따져볼 일이다. 길게 보면 단순 저임금을 넘어서는 경쟁력의 확보가 과제라 하겠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