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이젠 기술·브랜드 위해 ‘해외 기업’ 사냥

[아시아경제 박수익 기자] 중국기업들이 풍부한 외환보유고와 정부의 정책 지원을 등에 업고 해외기업 사냥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자원과 에너지를 확보할 목적이었지만, 이제는 선진 기술과 경영 노하우, 브랜드를 얻기 위한 M&A라는 점이 다르다.


KOTRA는 최근 발간한 ‘중국의 해외 M&A 사례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미국, 일본 등 7개국을 대상으로 총 10건의 주요 M&A 사례를 분석하며, 중국의 ‘역(逆) 마르코폴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역(逆) 마르코폴로 효과’란 700년 전 마르코폴로가 중국에서 나침반 등 최신 기술품을 세계에 소개했다면, 이제는 중국이 해외 투자를 통해 선진기술 및 경영노하우, 브랜드 등 무형자산을 확보하는 현상을 뜻한다고 코트라 측은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징시중공업은 자동차 생산기술과 경영노하우를 얻기 위해, 지난해 3월 미국 델파이사를 사들였다. 이번 M&A는 징시중공업의 지분 25%를 소유한 베이징시의 적극적인 주도로 이뤄졌다. 베이징시가 자동차 업체의 부품 조달이 대부분 해외 업체에 편중돼 있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품질과 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판단에서 M&A에 나선 것이라고 코트라 측은 분석했다.

올 1월에는 중국 닝보윈성이 일본 이스즈 자동차 계열의 자동차 부품사 닛코 전기를 인수했고, 지난 2008년 4월에는 중국 최대 풍력 발전 설비 업체인 골드윈드사가 독일 벤시스사를 인수해 선진기술 확보는 물론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는 등 중국업체들의 해외 기업 사냥이 잇따르고 있다.


윤재천 KOTRA 지역조사처장은 “중국기업들이 글로벌 위기를 틈타 M&A 시장에서 무섭게 질주하고 있다”며 “최근 선진국들의 잇따른 경기침체는 우리기업들의 해외 M&A에 좋은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박수익 기자 sipark@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