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7-7 DDoS 대란 1주년..'폭풍전야'

단순 침입 증가..긴장 끈 놓지 말아야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지난해 전국을 혼란에 빠뜨렸던 7ㆍ7 분산서비스거부(DDoS) 대란이 발생한 지 1년이 됐지만 아직 해킹 위험은 상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보안전문가들에 따르면 '해킹'은 전체적으로 감소했지만, DDoS 공격 형태의 '단순침입 시도'는 소폭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DDoS 대란 1주년을 기점으로 대규모 공격의 재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폭풍 전 고요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김희정)이 최근 발표한 '5월 인터넷 침해사고 동향 및 분석 월보'에 따르면 지난 5월 KISA가 처리한 해킹사고는 1062건으로 4월(1468건)에 비해 27.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킹사고 항목별로는 단순침입시도가 38.0%로 가장 많았고 이어 ▲스팸릴레이(26.8%) ▲홈페이지변조(13.7%) ▲기타 해킹(12.4%) ▲피싱경유지(8.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팸릴레이, 피싱경유지, 기타해킹, 홈페이지변조가 각각 33.9%, 6.9%, 41.9%, 53.2% 감소한 결과다. 하지만 '단순침입시도'는 오히려 2.0% 늘어나 올해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공격 방법에서는 DDoS 공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안철수연구소는 최근 상반기 공격 동향과 관련해 DDoS 공격이 35.4%로 가장 많았고, 웹사이트 취약점 공격이 34.8%로 뒤를 이었다고 밝힌 바 있다. 스팸메일 전송이나 DDoS 공격에 악용될 수 있는 '악성 봇' 감염 국내 PC 비율도 0.8%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5월 해킹사고를 기관별로 분류한 결과 개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59.3%로 가장 높았고 이어 ▲기업(35.9%) ▲비영리(2.8%) ▲대학(2.0%) 순으로 집계됐다. 이는 개인 사용자가 윈도 업데이트나 백신 업데이트 등 필수 보안 조치를 잘 실행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위험에 잘 노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해 DDoS 대란의 주요 원인으로 악성코드에 감염된 개인 사용자들의 좀비PC가 꼽히고 있다는 점에서 올해 역시 대규모 DDoS 공격의 가능성이 여전히 열려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기업 정보보안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기업의 해킹 피해는 올해 1월 277건에서 2월 362건, 3월 451, 4월 475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5월에만 381건으로 소폭 감소했다. 한편 지난 5월 국내에 등장한 웜ㆍ바이러스 수는 4월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KISA와 안철수연구소, 하우리 등에 신고된 웜ㆍ바이러스 건수는 1751건으로 4월(1315건)에 비해 33.2% 증가했다.


신고된 웜ㆍ바이러스를 분류한 결과 'ONLINEGAMEHACK'에 의한 피해신고가 29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 바이러스는 특정 온라인게임의 계정을 탈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자체 전파 기능은 없지만 사용자가 메일, 메신저, 게시판, 자료실 등에서 실행파일을 다운로드 해 실행하거나 다른 악성코드를 통해 설치되는 것으로 보이는 'MALWARE'가 249건으로 289% 증가했다.


감염되면 다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는 'AGENT'에 의한 피해도 161건으로 뒤를 이었다. 'MALWARE'와 'AGENT' 유형의 바이러스는 지난해 DDoS 대란에서 좀비PC 전파, 제어 등에 사용됐다는 점에서 보안업계는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보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악용해 백신 소프트웨어로 위장한 'FAKEAV'도 118건으로 지난 달에 비해 110% 증가했다. KISA 관계자는 "기타로 분류된 신고 건수가 670건으로 집계돼 여전히 다양한 형태의 웜ㆍ바이러스가 출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며 "DDoS 공격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자신의 컴퓨터에 윈도 최신 보안 업데이트를 적용하고 백신 소프트웨어를 반드시 설치해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김철현 기자 kch@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