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오늘의전략]외국인 매도세 계속되면 중소형주로 대응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유럽발 악재 수습 과정에서 국내증시는 장중 30pt가 넘는 변동성 속에 기술적 지지선에 대한 테스트가 계속되고, 주도주들의 동반 급락까지 전개되는 불안한 장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들은 5월 들어 코스피시장에서 단 2일간 간헐적인 소규모 순매수를 기록했을 뿐 매도세를 이어가고 있다.


19일 증시전문가들은 외국인 매도세가 매수세로 전환되지 않고 당분간 유지되는 상황에 대응해 전략을 짜라고 조언한다. 주도주에 대해서는 밸류에이션에 근거한 종목 슬림화가 필요하고 실적 개선이 확인되고 있는 내수주 또는 중소형주로 대응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 단 반등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힘들기 때문에 목표 수익률을 낮게, 투자시계를 짧게 가져가는 전략이 필요하다.

◆정명지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박스권 장세에 일부 주도주 리밸런싱이 필요하다. 긴 호흡에서 보면 차별화가 기대되지만 단기적으로는 시장 대응이 만만치 않다. 믿었던 IT·자동차의 주도주에서 이상 징후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일시적 수급 불균형이 발생하면서 대표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다. 실적 개선 속도 대비 주가 상승이 가파르게 진행됐기 때문에 추가 조정도 염두에 둬야겠지만 IT·자동차의 주도력에 대해서는 여전히 신뢰를 보낸다. 실적이 뒷받침 되기 때문이다. 다만 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만큼 주도주에 대해서도 밸류에이션에 근거한 종목 슬림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후발주자 중 대안을 찾는다면 ▲실적 개선이 확인되고 있는 일부 내수주 (현대백화점·강원랜드)와 ▲중국 내수 성장 수혜주 (아모레퍼시픽·오리온)가 시야에 들어온다. 주도주 중 단기 상승 폭이 컸던 종목군들을 대체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한범호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높아진 경계심리를 고려하되, 균형잡힌 시각에서 당면한 고민거리들을 대처해 나가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외국인투자자들의 매도세 지속 여부 및 지지선 구축 레벨, 그리고 주도주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점검은 필요하다.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와 유럽계 자금의 이탈 우려가 상존하고 있기에 외국인투자자들이 단기간에 적극적인 순매수세로 돌아서기는 쉽지 않겠지만, 악재에 대한 심리적 위축이 완화된다면 우리나라의 경제 펀더멘탈이 지니는 매력은 다시 부각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아울러 삼성생명이나 만도 등 최근의 대형 IPO를 통해 확인된 주식시장 대기성 자금들을 감안할 때 수급 측면의 안전판도 형성되고 있고, 전일과 같은 높은 변동성에서도 크게 훼손되지 않은 KOSPI 200일 이동평균선에서의 지지력을 기대할 수 있어 보인다.


업종별 접근에 대해서는 두가지 전략을 병행할 것을 권한다. 우선 전일 평균 3%가 넘는 급락을 보인 기존 주도주들의 경우 성장성 측면에 대한 기대감과 단기 차익실현 욕구가 공존하고 있기에 매도세의 동참보다는 기술적인 지지선을 확인하는 대응이 유리해 보인다. 반면 전날 주도주들의 급락 속에서 반등했던 유통, 은행 등 낙폭 과대주들의 경우 기술적인 단기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시계를 짧게 가져가는 트레이딩 대응이 가능하다.


◆조병현 동양종금증권 애널리스트=20일 이동평균선과의 이격이 축소되는 시점에서 외국인의 매수세가 형성된다면, 수급상 외국인의 견인력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IT와 자동차라는 기존 주도주 중 대형주 위주의 접근이 좋다. 그 중에서도 IT위주의 접근이 좋을 것으로 생각하는데 자동차주는 전일에서야 가격 조정을 받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어 IT주들에 비해 가격 부담이 당분간은 남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이격이 축소되는 구간에서도 외국인의 매수세가 형성되지 않는 다면 외국인이라는 수급 주체가 없는 상황이 지속되는 것이기 때문에 대형주 보다는 중소형주 위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반등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힘들기 때문에 목표 수익률을 낮게 가져갈 필요가 있다.종목 선택에 있어서 실적을 고려해서 접근하는 것도 최소한의 안전판 역할을 할 것이다.


◆이경수 신영증권 애널리스트=외국인들의 매도세가 완화되기 전까지는 유통, 보험, 유틸리티, 섬유·의복 등의 내수 및 경기둔감 업종에 관심을 갖는 편이 나아보이고 대형주보다는 중소형주에 대한 대응이 긍정적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내수 및 경기둔감주에 편향된 전략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외국인들의 매도세가 나타나는 시기에 국한되는 전략일 뿐이다. 결과적으로 글로벌 위험선호도가 급격히 회복되고 외국인들의 매수 재개 가능성에 대비해서 이익모멘텀과 저평가 메리트가 크게 부각되고 있는 수출주 및 벤치마크 인덱스에도 꾸준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외국인들의 대응에 맞춰서 달라지는 전략이 유효해보인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박선미 기자 psm82@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