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6.2지방선거 평균경쟁률 2.5대 1...여야 선거전 본격화(종합)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6.2지방선거 후보 등록이 14일 마감되면서 여야 정치권은 본격적인 선거체제로 접어들게 됐다.


14일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6.2 지방선거 후보등록 마감 결과, 1만20명이 등록을 마쳤다. 평균 경쟁률은 2.5대 1로 4년 전인 2006년 5.31 지방선거 때 경쟁률인 3.2대 1보다 하락했다.

이번 지방선거 후보 등록은 교육감, 교육위원 선거 등을 포함해 8개의 선거가 동시에 실시된다는 점에서 사상 최대의 경쟁률이 예상됐다. 선거전문가들은 경쟁률 하락과 관련, 전체 선출인원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지방의원의 후보 등록이 감소해 전체 경쟁률을 떨어뜨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대 4명까지 뽑던 기초의원 선거구가 이번에 대폭 줄면서 출마자도 함께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이라는 것.


후보등록 현황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우선 16개 시도지사를 선출하는 광역단체장 선거에는 모두 58명의 후보가 등록을 마쳐 3.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어 228명을 선출하는 기초단체장 선거에는 780명이 등록해 3.4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어 ▲지역구 광역의원 1779명(2.6대 1) ▲지역구 기초의원 5862명(2.3대 1) ▲비례대표 광역의원 267명(경쟁률 3.3대 1) ▲비례대표 기초의원 919명(2.4대 1) ▲교육감 81명(5.1대 1) ▲교육의원 274명(3.3대 1)이 등록을 마쳤다.


한편, 지방선거 후보 등록이 마감됨에 따라 여야는 이제 본격적인 선거체제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내달 2일 선거까지 20일이 채 남지 않았다는 점에서 여야는 당력을 총동원한 진검승부를 벌일 것으로 보인다.


역시 최대 승부처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이다. 한나라당은 정권안정론을 강조하며 오세훈, 김문수, 안상수 후보들을 출격시켜 승리를 자신하고 있다. 반면 정권심판론을 부각시키고 있는 민주당 등 야권은 한명숙, 유시민, 송영길 후보들을 내세워 지방권력 탈환을 노리고 있다.


아울러 이번 선거는 또한 16개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참여정부 당시 일했던 친노후보들이 대거 출격, 전·현직 정권의 대리전 양상도 불거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무능 부패세력의 부활이라며 이른바 친노세력 때리기에 나섰다. 야권은 오는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기에 따른 노풍 효과를 기대하며 지지층의 결집을 노리고 있다.


이와함께 이번 선거에는 천안함 침몰원인 조사 결과 발표, 4대강 사업과 무상급식 찬반 논란, 세종시 문제 등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김성곤 기자 skzero@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