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애플 아이폰 게 섯거라!"…구글 연합군의 '대 반격'

안드로이드폰 점유율 아이폰 넘어서, 태블릿 시장서도 반격 조짐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한 구글 연합군의 대반격이 시작됐다. 안드로이드폰의 시장 점유율이 지난 1분기 미국시장에서 사상 처음으로 아이폰을 넘어서고, 한국에서도 삼성전자 갤럭시A의 하루 판매량이 아이폰을 제치는 등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태블릿 시장에서도 애플 아이패드를 겨냥한 구글의 추격전이 숨가쁘게 이어지고 있다. 미국 최대 이동통신사 버라이즌와이어리스는 최근 구글과 손잡고 아이패드 대항마로 안드로이드기반 태블릿PC 개발에 뛰어들었다. 삼성전자도 안드로이드 기반의 태블릿PC를 하반기에 선보일 예정이다.

◆NPD "안드로이드폰 시장 점유율이 처음으로 아이폰 앞서"=시장조사업체 NPD가 12일(현지시간) 발표한 미국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안드로이드폰의 점유율이 28%로 애플 아이폰(21%)를 따돌린 것으로 나타났다. 림(RIM)사의 블랙베리는 시장 점유율 36%로 미국시장 1위임을 재확인했다.



지난 해 까지 안드로이드폰의 시장점유율은 아이폰에 비해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모토로라와 HTC의 신제품들이 일제히 안드로이드폰으로 출시되면서 상황이 반전되기 시작했다. 애플이 2년 동안 신제품을 내 놓지 않은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안드로이드폰이 시장 점유율에서 아이폰을 앞서자 미국 현지언론들도 크게 놀라는 눈치다. 포브스를 비롯한 일부 현지언론은 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NPD의 조사 결과가 실제 판매량 수치를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니라 온라인 표본 설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실제 시장 점유율과는 괴리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단일 모델인 아이폰과 여러 휴대폰 제조업체가 동시다발적으로 만들고 있는 안드로이드폰과의 직접 비교가 맞지 않는다는 견해도 있다.


특히 AT&T에서 독점 판매되고 있는 아이폰을 겨냥해 버라이즌이 파격적인 가격으로 안드로이드폰을 내놓아 시장 점유율이 높아졌다는 비판적 시각도 없지 않다. 하지만 안드로이드폰이 아이폰 시장 점유율을 넘어섰다는 그 자체가 향후 스마트폰 시장의 향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아이폰으로 인해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되면서 이제는 소비자들이 다양한 선택권을 가질 수 있는 안드로이드폰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음이 수치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더욱이 AT&T를 통해 처음으로 애플 아이폰을 개통했던 상당수의 미국 소비자들이 약정기간인 2년이 끝나가면서 배터리 교체가 어렵도 멀티태스킹도 되지 않는 아이폰에 대한 불만을 쏟아내면서 버라이즌의 안드로이드폰으로 이동하고 있어 주목된다.


◆6월 구글 연합군의 '대 반격' 예고 =업계는 6월부터 구글 연합군과 아이폰의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우선 OS 경쟁부터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 OS 2.2를 준비중이다. 새롭게 출시될 2.2버전의 가장 큰 특징은 안드로이드폰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기본 메모리 제약이 없어진다는 점이다. 기존 안드로이드폰 2.1버전은 기본 실행 파일의 경우, 휴대폰에 내장된 주 메모리에만 설치해야 된다. 외장 메모리에는 애플리케이션 설치가 불가능해 기본 메모리가 꽉 차면 더이상 애플리케이션 설치가 불가능했다.


하지만 2.2버전에서는 외장메모리에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보완이 될 전망이다. 게다가 성능면에서도 대폭 업그레이드될 예정이다. 2.2버전을 테스트 해본 해외 유명 블로거들은 안드로이드 OS 2.1을 탑재한 휴대폰과 2.2를 탑재한 휴대폰의 성능 차이가 무려 4배에 이른다고 지적하고 있다. 2.2버전이 4배 이상 빠른 속도로 작동해 아이폰보다 오히려 경쟁력이 있다는 얘기다.


애플이 6월에 새롭게 출시할 아이폰 OS 4.0에서 그동안 문제가 됐던 멀티태스킹 기능 등을 보완한 제품을 내놓으려 하는 것도 이같은 구글의 추격에 커다란 압박감을 느끼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삼성 '갤럭시S', 아이폰4G 대항마로 급부상=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의 '갤럭시S'가 아이폰의 최대 대항마로 급부상하고 있다. '갤럭시S'는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1기가헤르쯔(㎓)급의 최신 중앙처리장치(CPU)와 화질을 크게 높인 슈퍼 아몰레드(AMOLED)를 채용한 점이 돋보인다.



일본의 IT전문지 아스키 등은 갤럭시S를 두고 '최고의 하드웨어 사양을 갖춘 휴대폰'이라고 호평한 바 있다. 속도와 화질에서 특히 우수하다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A가 맛보기라면 갤럭시S는 아이폰4G와 당당히 겨룰수 있는 야심작이라며 자신감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베트남에서 시제품이 유출돼 또 한차례 뉴스를 탄 '아이폰4G'는 오는 6월 7일 열리는 애플의 세계개발자회의(WWDC)에서 정식으로 공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태블릿PC 시장에서도 구글 연합군이 애플 아이패드를 겨냥한 공세에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끈다. 구글은 미국 이통사 버라이즌과 손잡고 안드로이드 기반의 태블릿PC를 제작중이다. 삼성전자는 9.7인치 디스플레이를 내장한 아이패드가 휴대가 불편하다는 점을 감안, 7인치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태블릿PC를 선보일 예정이다.


삼성전자 고위 관계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의 신제품들이 올해 국내외 출시되면 상황은 크게 달라질 것"이라며 "아이폰4G 출시에 맞춰 삼성이 자체 개발한 바다(Bada) 플랫폼 등 다양한 스마트폰도 대거 공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명진규 기자 aeo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