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마니아] 스폿측광 활용으로 '느낌있는 사진'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3초

[마니아] 스폿측광 활용으로 '느낌있는 사진'을~
AD

05. 빛의 선택 측광!
접사에서 측광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가 없겠지요? 그만큼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화원의 꽃이나 숲속의 야생화들은 저마다 다양한 색상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색들은 저마다의 밝기를 지니고 있는데 사진을 촬영하면 그 빛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으로 표현이 됩니다.


[마니아] 스폿측광 활용으로 '느낌있는 사진'을~ [c3-00-046.jpg 측광]

카메라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사진을 촬영하게 되면 카메라는 그 빛을 그대로 받아들여 촬영자가 의도한 것과는 다른 모습의 이미지가 촬영됩니다. 이것은 바로 측광의 문제인데 측광 방식을 변경하게 되면 조금 더 자연스러운 사진을 얻을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측광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습의 아름다운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마니아] 스폿측광 활용으로 '느낌있는 사진'을~ [c3-00-046_1.jpg 측광비교]

측광의 방식에는 하나의 프레임 안에서 어떤 곳을 어떻게 측광하느냐에 따라 나누어지는데 크게 자동모드에서 사용되는 멀티측광과 중앙부 중점측광, 스폿측광 등으로 구분이 됩니다. 이렇게 구분해 놓은 것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느낌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노출 선택의 폭을 넓혀 놓자는 카메라 브랜드의 마케팅이라 생각됩니다. (보급형과 고급형에 따라 측광선택의 차이가 있음)


[마니아] 스폿측광 활용으로 '느낌있는 사진'을~ [c3-00-047.jpg 스팟측광 사진] [c3-00-048.jpg 멀티측광 사진]


지금부터는 측광방식의 구분에 따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멀티(multi)측광
멀티측광은 한 프레임 안의 전체적인 부분을 프로그램의 방법에 따라 다분할한 뒤에
각각의 부분을 측광해서 평균치의 노출을 측광하는 방식입니다.


[마니아] 스폿측광 활용으로 '느낌있는 사진'을~ [c3-00-049.jpg 멀티측광방식]


밝은 색의 흰 꽃을 촬영하면 카메라는 밝은 빛을 인식하여 더 어둡게 촬영하므로 실제보다 어둡게 촬영되어지고, 반대로 어두운 색상의 꽃을 촬영하면 밝게 촬영되는 이치입니다. 이는 카메라의 자동노출(AE)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인데 자동노출은 피사체의 밝기를 카메라가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노출을 정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마니아] 스폿측광 활용으로 '느낌있는 사진'을~ [c3-00-050.jpg 멀티측광 1]


자동노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측광은 멀티측광입니다. 멀티측광은 화면 전체를
다분할로 측광하기 때문에 많은 색들의 밝기를 모두 계산하여 사진의 밝기를 표현
합니다. 별다른 설정없이 상황에 맞는 적절한 노출을 맞춰주어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촬영자의 의도를 전혀 반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기도 합니다. 이 부분은 그리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소개 정도로만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② 스폿(spot)측광

[마니아] 스폿측광 활용으로 '느낌있는 사진'을~ [c3-00-051.jpg 스폿측광방식]


카메라가 지원하는 측광 방식 중 스폿측광을 이용하면 화면 일부의 색을 중심으로 노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화면 내의 좁은 범위만을 측광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자가 의도한대로 노출을 맞출 수 있는 것입니다.
스폿측광의 가장 큰 장점이 위 사진처럼 배경에는 빛이 없고 피사체에만 광선이 있는 노출차가 큰 경우에 뒤 배경을 검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처럼 노출에 차이를 두어 느낌 있는 사진으로 표현 할 수 있다는 것이 스폿 측광의 매력입니다.


아래 예제는 그늘진 곳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꽃 부분에만 광선이 들어오고 주위의 배경에는 광선이 약한 상태입니다.


[마니아] 스폿측광 활용으로 '느낌있는 사진'을~ [c3-00-052.jpg 스폿측광방식]


위에서처럼 가운데 부분의 광선 반사가 염려되는 꽃 부분에 스폿측광을 하게 되면
꽃의 밝기가 중간톤의 밝기보다 밝기 때문에 카메라는 중간 톤의 빛을 받아들이기 위해 빠른 셔터속도와 높은 조리개 값을 요구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화상이 입력되는 CCD에는 그늘지고 어두운 곳의 빛이 약하게 들어가게 되는 것이지요. 더불어 그늘진 곳의 밝기는 어두워지게 되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스폿측광은 전체프레임에서 가운데 부분의 작은 곳만을 측광하기 때문에 주 피사체와 배경의 극단적인 대비를 표현하기에는 최적의 측광이라 하겠습니다.


[마니아] 스폿측광 활용으로 '느낌있는 사진'을~ [c3-00-053.jpg 스폿측광]


[마니아] 스폿측광 활용으로 '느낌있는 사진'을~


이것으로 접사사진 잘 찍는 방법에 관한 내용을 모두 마칩니다.






정승익 사진작가 jsi0805@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