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백두산 원전건립안에 내홍 확산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 백두산에 원자력발전소를 짓겠다는 중국 건립안을 놓고 내홍이 확산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25일 "외교통상부, 환경부, 주중 한국대사관에 공문을 보내 정식으로 중국의 백두산 핵발전소 건설에 대한 사실 확인과 이에 대한 한국정부의 공식입장을 오는 31일까지 요청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백두산 원전건설계획은 지난달 초 중국 관영신화통신이 중국 지린성(吉林省)정부가 백두산 지역 내 지린성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위한 '적송(赤松)원자력프로젝트를 오는 2012년 착수한다고 보도하면서 알려졌다. 적송 프로젝트의 총 사업비는 850억위안(14조4500억원)으로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개발한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인 1250㎿급 AP-1000형 원자력 발전 설비 6기가 건설된다. 총 6기가 운행되면 연간 전력생산액은 225억위안(3조8000억원) 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다. 1차 공사에서는 4기 건설을 완료한다. 발전소 위치는 지린성 동부의 창바이산(長白山, 백두산의 중국식 표기)구 징위(靖宇)현이다. 중국전력투자집단공사(CPI)의 지린원전 건설 사무소는 징위현에 건설허가 등록을 마친 상태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국내 환경,시민단체들은 "원자력발전소가 백두산에 건립될 경우 인근 환경오염과 인근 수생태계 파괴가 우려된다"고 반발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했다.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대개 냉각수공급이 가능한 해안가에 건립되는데 백두산 인근에 원전을 건설하게 되면 압록강이나 두만강의 물을 끌어들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최근 백두산 지역은 규모 1~2의 미세지진이 급증하고 있고, 1년에 수 백회씩 지진이 나고 있어 더 이상 화산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다.

환경운동연합은 그러나 "(보도 이후) 주한 중국대사관에 수차례 연락을 하고 공문을 보내는 등 사실 확인과 함께 관련 계획안을 요청했지만, 부서간 책임을 미루거나 사실 확인을 회피하더니 결국에는 지린성에 직접 알아보라는 답을 받았을 뿐"이라고 했다. 또 관계부처인 외교통상부와 환경부에 관련 사실 확인 요청을 했으나 이들 부처는 중국이 백두산에 핵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는 사실도 모르고 사실 확인에 대한 책임을 서로 다른 부처에게 전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국장은 "오는 31일 정부의 답변이 미진할 경우 한국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행동과 함께, 필요할 경우 중국대사관 항의방문 등을 통해 중국정부에 이 문제의 심각성을 적극 알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