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與 서울시장 '제3후보론'의 진실은?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한나라당이 서울시장 제 3후보론으로 요동치고 있다. 서울시장은 6월 지방선거 최대 승부처인 만큼 확실한 인물을 내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퍼지고 있기 때문이다. 제3후보론은 오세훈 현 시장은 물론, 원희룡ㆍ나경원 의원 등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 3인방으로는 야권 후보를 완전히 제압하기에는 '2% 부족하다는'는데 논리를 펴고 있다. 한마디로 야권 단일후보로 한명숙 전 총리가 서울시장에 출마할 경우 승리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한나라 지도부 "사실무근"

한나라당 지도부는 서울시장 선거에서 필승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제3후보론'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정병국 한나라당 사무총장은 지난 11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로 제3의 중량급 인사가 투입될 수 있다'는 관측에 대해 "전혀 사실무근이고 있을 수 없는 이야기"라고 일축했다. 그는 특히 "지금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들만큼 역대 어느 때보다도 경쟁력있는 후보들이 나온 적이 없다"며 낙승을 예상했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오세훈 현 서울시장과 원희룡ㆍ나경원 의원 등 한나라당을 대표하는 차세대 리더그룹의 서울시장 후보 경선전이 흥행몰이를 할 경우 야권에서 누가 나와도 승산이 충분하다는 계산을 하고 있다.


◆한명숙 전 총리 재판결과는 부담


이 같은 자신감에도 한 전 총리의 재판 결과는 부담스럽다. 한 전 총리가 재판에서 뇌물수수 혐의를 완전히 벗어던지면 서울시장 선거 판도는 요동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실제로 원희룡 의원이 15일 "만약에 무죄판결이 나올 경우에 그 파장은 사실 매우 심각할 걸로 예상된다"고 우려한 것도 이 때문이다. 특히 6월 지방선거를 열흘 가량 앞두고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기 1주기(5월 23일)가 예정돼 있다는 점도 무시못할 변수다. 대표적인 친노 인사인 한 전 총리의 출마는 노풍(盧風)에 따른 시너지 효과와 함께 정권심판론을 확산시키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어 선거판의 지각변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나라당내에서 '제3후보론'이 불거지는 것도 바로 이러한 전망 때문이다. 반(反)MB 연대를 명분으로 야권 단일후보가 현실이 되고, 여야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역전 조짐을 보이면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게 '제3후보론'의 요체다. 아직은 가능성에 불과하지만 4월 9일 한 전 총리에 대한 1심 선고결과 등 정치상황의 변화에 따라 현실화할 가능성이 전혀 없지 않다.


◆'제 3후보' 누구일까?


오세훈 시장 역시 지난 2006년 5.31 지방선거 당시 긴급 수혈된 제3후보의 성격이 강했다. 선거참패를 우려한 열린우리당이 대중적 인기가 높았던 강금실 전 법무장관을 서울시장 후보로 영입하자 한나라당은 오 시장을 대항마로 영입했다. 아울러 서울시장은 차기 대선으로 가는 징검다리라는 점에서 오 시장의 재선을 한나라당내 차기 또는 차차기 그룹이 그대로 용인할 것인가라는 점도 고려해봐야 할 사항이다.


이경헌 포스커뮤니케이션 대표는 "선거는 항상 최악을 전제로 해야 한다. 무죄를 선고받은 한명숙 전 총리가 야권 단일후보로 나설 경우 여권에서는 오세훈 카드로는 힘들다는 인식이 퍼질 수 있다"고 전제하고, "서울시 교육감 불출마 의지를 밝힌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이 여권의 서울시장 제3후보로 떠오를 수 있다. 여권 최고위층도 그를 접촉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