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허트 로커' 아카데미 작품상 등 6관왕..'아바타'는 3개부문 수상(종합)


[아시아경제 고경석 기자]전(前) 부부 감독 제임스 카메론과 캐스린 비글로의 맞대결은 결국 여장부 비글로의 승리로 끝이 났다.


캐스린 비글로 감독의 '허트 로커'는 7일(현지시간) 미국 LA 코닥극장에서 열린 8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과 감독상, 각본상, 편집상, 음향상, 음향편집상 등 6개 부문을 휩쓸었다.

'아바타'의 제임스 카메론 감독과 캐서린 비글로 감독은 1989년부터 2년여간 부부로 지낸 사이이기에 이번 시상식에서 특별한 관심을 끌었다.


'허트 로커'와 '아바타'는 각각 9개 부문 후보에 올라 최다 부문 후보작이 됐으며 두 작품은 작품상과 감독상 등 주요 노른자위 부문을 포함해 촬영상과 편집상, 음향상, 음향편집상, 작곡상 등 7개 부문에 함께 이름을 올렸다.

결국 '허트 로커'는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등 6개 부문을 휩쓸며 압도적인 성적을 보였고, '아바타'는 촬영상, 미술상, 시각효과상 등 시각 기술 3개 부문 수상으로 만족해야 했다.


두 감독의 영화는 골든글로브 작품상과 감독상 후보에 함께 올라 화제를 모았으며 당시에는 '아바타'가 작품상과 감독상을 독차지한 바 있다.


'아바타'는 지구의 에너지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판도라 행성 정복에 나선 인류와 판도라 행성의 원주민 나비족의 대결을 그린 작품이며 '허트 로커'는 이라크 바그다드 시내 곳곳에 테러리스트들이 설치한 폭발물을 제거하는 임무를 맡은 미군 특수부대 폭발물 처리반의 활약을 그린 전쟁 액션 영화다.


'허트 로커'는 지난달 21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촬영상, 편집상, 음향상 등 총 6개 트로피를 독차지했으며, '아바타'는 시각효과상과 미술상 등 2개 부문 수상에 그쳤다.


이날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로는 '블라인드 사이드' '디스트릭트9' '언 에듀케이션' 허트 로커' '바스터즈:거친녀석들' '프레셔스' '시리어스 맨' '업' '인디에어' 등이 올랐다.


남녀 주연상은 '크레이지 하트'의 제프 브리지스와 '블라인드 사이드'의 산드라 불록이 각각 차지했다. 두 사람 모두 이번이 최초의 아카데미 수상이다.


'크레이지 하트'는 한 여기자와의 인간적인 관계를 통해 재기의 힘을 얻는 늙은 컨트리 가수의 이야기를 그린 토마스 콥의 1987년산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브리지스는 '크레이지 하트' 이전 1972년 '라스트 픽쳐 쇼'로 남우조연상 후보에 오른 뒤 '선더볼트 앤 라이트풋'(1975, 조연), '스타맨'(1984, 주연), '컨텐더'(2000, 조연)까지 네 차례 후보에 오른 바 있으나 수상은 이번이 처음이다.


산드라 불록은 아카데미 시상식 후보에 처음 오르자마자 여우주연상을 차지하는 영광을 안았다.


'블라인드 사이드'는 미식축구 스타 마이클 오어의 실화를 다룬 마이클 루이스의 2006년산 베스트셀러를 영화로 옮긴 스포츠 드라마다.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의 크리스토프 왈츠는 지난해 칸영화제 수상에 이어 다시 한번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받아 재능을 과시했고, '프레셔스'의 모니크는 여우조연상을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해 칸영화제 개막작이었던 '업'은 애니메이션 작품상과 음악상을 수상해 2관왕에 올랐다. 이와 함께 흑인감독 리 다니엘스의 '프레셔스' 역시 각색상과 여우조연상으로 두 개의 트로피를 차지했다.


한편 이날 사회는 스티브 마틴과 알렉 볼드윈이 공동으로 맡았다.


이하 수상자(작) 목록


▲작품상=▲감독상=캐스린 비글로(허트 로커) ▲남우주연상=제프 브리지스(크레이지 하트) ▲여우주연상=산드라 불록(블라인드 사이드) ▲남우조연상=크리스토프 왈츠(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여우조연상=모니크(프레셔스) ▲각본상='허트 로커'(마크 볼) ▲각색상='프레셔스'(제프리 플레처) ▲장편 애니메이션영화상='업' ▲단편영화상='뉴 테넌츠' ▲단편 애니메이션영화상='로고라마' ▲외국어영화상='눈의 비밀'(아르헨티나) ▲장편 다큐멘터리영화상='코브: 슬픈 돌고래의 진실' ▲단편 다큐멘터리영화상='뮤직 바이 프루던스' ▲음악상='업'(마이클 지아키노) ▲주제가상='크레이지 하트'의 '더 웨어리 카인드(The Weary Kind)' ▲편집상=허트 로커 ▲촬영상='아바타'(마우로 피오레) ▲미술상='아바타'(릭 카터, 로버트 스트롬버그, 킴 싱클레어) ▲음향상='허트 로커'(폴 N.J. 오터슨, 레이 베켓) ▲음향편집상='허트 로커'(폴 N.J. 오터슨) ▲의상상='영 빅토리아'(샌디 파월) ▲시각효과상='아바타' ▲분장상='스타트렉'(바니 버먼, 민디 홀, 조얼 할로)

고경석 기자 kave@asiae.co.kr
<ⓒ아시아경제 & 스투닷컴(stoo.com)이 만드는 온오프라인 연예뉴스>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