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궁지 몰린 도요타, 긴급위기전담팀 마련

[아시아경제 강미현 기자] 제품결함 문제로 전세계에서 정치적·법률적 공세에 시달리는 도요타가 로비스트·법률가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기 전담 팀을 꾸리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6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도요타의 워싱턴 본부는 이주 들어 전략컨설팅 전문 기업 글로버 파크 그룹을 고용하고 미국 정부의 정치적 공세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나섰다. 글로버 파크 그룹은 백악관 전 대변인 조 록하트를 비롯한 클린턴 행정부 시절 인사들이 운영하고 있는 업체다.

또 도요타는 방제업체 미국 타이코사, 아델피아 커뮤니케이션스를 도와 기업의 위기를 관리했던 홍보전문기업 로빈슨 래러&몽고메리 등과 손을 잡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아울러 로비업체들과도 의견을 나누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요타의 신디 나이트 대변인은 "(리콜사태 이후) 도요타는 홍보와 로비, 법률 자문 인력들을 보강했다"고 말했다.

도요타의 이같은 움직임은 리콜 사태 이후 거세지고 있는 미국 정부의 집중적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교통부 장관이 도요타 자동차의 운행을 자제할 것을 주문하는가 하면, 직접 아키오 도요타 사장에게 리콜 압력을 넣는 등 압박의 수위를 높여나가자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게 됐다는 것.


일각에선 미국 정부가 이번 일을 도요타에게 내줬던 자동차 시장을 되찾기 위한 기회로 보고 있다는 분석을 제기하고 있다. 아울러 도요타는 미국 정부 그늘의 제너럴모터스(GM)과 포드 등 미국 자동차 기업들을 견제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도요타는 미국에서만 압박을 받고 있는 것은 아니다. 캐나다에서 도요타에 대한 집단 소송을 이끌고 있는 법률업체 MLG(Merchant Law Group)은 이날 "도요타의 프리우스와 렉서스 하이브리드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결함에 대해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고 밝혔다.


MLG는 "2010 도요타 프리우스와 렉서스HS250h 하이브리드 모델을 보유하고 있는 캐나다 소바자들을 대리해 소송을 제기했다"며 "구매 가격에 상응하는 보상금 혹은 차량 재매각에 따른 손실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요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도요타의 브레이크 결함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최소 30개 이상의 소송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국내에서도 도요타는 거센 비난에 직면했다. 전날 마에하라 세이지 일본 교통상은 프리우스 리콜을 미루고 있는 도요타를 겨냥해 "고객 관점이 결여돼 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일본 각료가 직접 도요타를 비판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도요타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도요타 측은 기자회견에서 프리우스의 브레이크 결함 문제에 대해 "프로그램의 문제일 뿐 큰 문제가 아니다"고 주장했지만 결국 미국과 일본 시장에서 약 28만대를 리콜하기로 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강미현 기자 grob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