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매매가이드] 매물 압박에 '소폭 조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5초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골프회원권시장의 '조정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주부터 이어진 매물 증가에 압박을 받으면서 상승 종목은 감소하는 반면 하락 종목의 비중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지난해 연말과 올초 상승장을 이끌었던 중가대가 특히 하락폭이 커지는 흐름이다. 골프회원권 전문가들은 "미국과 중국 등의 금융권 긴축정책 등 외부 여건이 좋지 않다"면서도 "아직은 지나치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분석하고 있다.

▲ 매수 유입 감소 '잠잠' <고가권>= 매수세의 추가 유입이 감소되고 있다. 전반적인 변동폭은 적다. 가평베네스트와 레이크사이드는 조용하고 남부의 호가만 1000만원 하락했다. 남촌과 렉스필드, 이스트밸리 등 '곤지암 빅3'도 답보상태다. 청평권의 마이다스밸리와 프리스틴밸리가 최고 1000만원 상승해 상대적으로 고평가되고 있다.


▲ "점점 힘이 딸리네" <중가권>= 남서울과 골드, 기흥, 뉴서울 등 수도권의 '근거리 골프장'들이 최고 300만원까지 소폭 하락했다. 서서울과 뉴코리아, 레이크우드 등 강북쪽도 매물이 늘어나면서 기세가 한풀 꺾였다. 자유와 블루헤런 등 이 '제자리걸음'을 거듭하고 있는 여주, 이천권은 비에이비스타와 신라가 최고 500만원 상승해 눈길을 끌었다.

▲ 지방만 '신바람~' <저가권>= 리베라와 프라자, 한원 등이 약세를 보이는 등 수도권은 중가권과 비슷한 양상이다. 캐슬렉스와 안성 등이 최고 100만원씩 하락하는 등 이번에는 '가족회원권'도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강북의 필로스와 몽베르도 여전히 약세다. 영ㆍ호남은 반면 아시아드가 300만원 오르는 등 전반적인 상승세다.




김세영 기자 freegol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