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갈등지수 10% 하락땐 1인당 GDP 7.1% ↑
2010년 경인년 우리 사회에 '소통'이 중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사회 통합의 단초가 되는 소통의 중요성이 새삼스러울 것은 없지만, 올해 G20 정상회의 개최에 나서는 한국이 세계 지배구조 변화를 이끄는 중심 국가로서의 면모를 과시해야할 상황에서 절실한 실천 과제로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 각계 리더들은 소통이 글로벌 스탠더드 기준에 부합하는 사회상으로 가는 전제 조건이라는데 동의하면서 앞다퉈 그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우리의 바램과 괴리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조선시대 학자 김상헌의 시구를 빌려 표현하자면 요즘 한국 사회는 그야말로 '하 수상하다'. 세종시 문제를 비롯해 사회 구성원간 반목과 대립을 야기하는 매개체가 도처에 산재해있다.
2년 전 촛불 정국, 용산 참사, 노무현 대통령의 비극적인 죽음 등 나라 전체를 떠들썩하게 한 '빅 이슈'의 한가운데서 우리는 갈등의 고리를 양산하는 길을 선택해왔다. 그렇다고 소통을 향한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이명박 대통령도 취임 이후 줄기차게 소통을 강조했다. 언론도, 지식인도, 시민단체도 마치 유행어처럼 소통을 주문했다.
그러나 아직도 가시적인 성과 없이 갈등지수는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하루 평균 39.2회의 집회가 열리고 매일 9244명이 집회에 참가하며 그 중 15명씩 사법처리됐다. 또한,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집회 및 시위 발생 건수는 총 1만1762건으로 전년도 대비 5.1%가 증가했다.
지난해 11월 동아시아연구원 여론분석센터와 한국리서치가 전국 성인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사회갈등이 1년 전보다 심각해졌다는 입장이 56.9%에 달할 만큼 국민들도 공감하고 있다.
$pos="C";$title="출처_동아시아연구원 여론분석센터";$txt=" 2008년과 2009년 여론조사 결과를 근거로 한 수치임. 자료:동아시아연구원";$size="550,316,0";$no="2010012209525616856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사회 갈등은 경제적 비용과도 직결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지난해 6월 보고서에 따르면 사회갈등지수가 10% 하락할 때마다 1인당 GDP는 7.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0.71인 한국의 갈등지수가 OECD 평균인 0.44로 낮아진다면 1인당 GDP는 27.0% 증가한다는 것이다. 갈등 해소가 안정적인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로 연결해주는 모멘텀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적절한 소통에 대한 진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박준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사회적 다원화 추세가 선순환에 접어들지 못하면서 각 계층과 집단의 이익표출이 복합 갈등으로 발전했다"며 "민주주의 질적 심화의 토대가 되는 성숙한 시민의식을 발현할 수 있는 장치로서 소통 문제가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성공투자 파트너]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선착순 경품제공 이벤트
이승종 기자 hanarum@asiae.co.kr
김수진 기자 sjkim@asiae.co.kr
정재우 기자 jjw@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