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은행권, 주택대출금리 앞다퉈 인하..왜?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은행권이 서민들의 시름을 가중시켰던 주택담보대출 금리을 잇달아 인하하고 있다.


높은 가산금리 적용으로 서민 가계의 이자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비판을 받아온 은행권이 금융당국의 보이지않는 손에 결국 금리인하를 자처한 셈이다.

실제 금융당국은 은행별로 가산금리를 공시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등 가산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나선 상태다.


10일 금융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11일부터 종전에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산정할 때 CD 금리에다 2.70∼3.62%포인트의 가산금리를 붙였으나 이번 주부터 가산금리를 2.50~3.42%포인트로 낮춘다.

이에 따라 현재 2.88%인 CD 금리를 감안하면 11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주 연 5.58∼6.50%에서 연 5.38~6.30%로 인하된다. CD 연동형 전세자금대출 금리도 기존보다 0.2%포인트 낮아져 연 5.88∼6.70%가 적용된다.


이번 금리 인하는 올해 말까지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외환은행도 11일부터 CD 연동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를 0.2%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 주말 연 5.12∼ 6.67%에서 이번 주 연 4.92∼6.67%로 낮아진다.


앞서 기업은행은 올해부터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5%포인트 내렸다. 또 1년간 가계대출 중 연체 대출에 적용되는 금리를 현행 최고 연 21%에서 18%로 3%포인트 낮췄다.


은행연합회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정기예금, 은행채, CD 등 은행의 실제 자금조달원을 가중 평균한 새로운 기준금리를 만들고 있으며 이르면 2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한편 주택담보대출금리 인하조치가 전체 은행권으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은행권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다.


대출금리를 낮추면 그만큼 수익성이 악화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정기예금 금리가 5%대로 높아지는 등 조달비용이 상승해 대출금리를 내릴 요인이 거의 사라진 상태다.

[성공투자 파트너] -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