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감원, 14일부터 KB금융 현미경 조사 돌입

종합검사에서 고강도 조사 이어질 듯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금융감독원이 이번 주 KB금융지주와 국민은행에 대한 종합검사에 나선다.


지난 달 예비검사에서 관례없는 고강도 조사로 관치금융 논란을 야기했던 만큼 금감원의 이번 종합검사에 관심이 쏠릴 수 밖에 없는 상황.

특히 강정원 국민은행장이 금융당국과의 마찰로 KB금융 회장 내정자직을 사퇴한 가운데 실시되는 것으로 금감원의 조사가 어디에 초점을 맞춰 이뤄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10일 금감원 및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오는 14일 KB금융과 국민은행에 대한 종합검사에서 ▲카자흐스탄 BCC은행 인수 문제 ▲부적절한 영화투자에 따른 손실 ▲금전적 지원을 통한 사외이사 장악 의혹 ▲커버드본드 관련 손실 ▲부동산 PF대출 부실 확대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지난달 사전검사와 제보 등을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했고 이번 주부터 한 달간 약 40명의 검사역을 투입해 관련 의혹을 규명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은 지난달에 한 사전검사에서 국내외 각종 투자 과정과 사외이사의 비리 의혹, 강 행장의 관련 의혹 등에 대한 상당한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이 2008년 카자흐스탄 센터크레디트은행(BCC) 지분 30.5%를 인수한 것이 논란이 되고 있다.


국민은행은 우리 돈으로 8천억원 가까이 투자해 주가 폭락으로 지금까지 2500억원의 평가손실을 입었으며 애초 목적과 달리 경영권도 인수하지 못했다.


국민은행이 해외 중소은행에 무리하게 대규모 투자를 했는지, 불리한 조건으로 계약을 맺었는지, 이사회에 제대로 보고했는지 등이 조사를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5월 10억달러 규모의 커버드본드를 발행한 것도 조사 대상이 되고 있다. 당시 우리나라가 국제 금융위기 여파에서 벗어나 대외신인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커버드본드를 무리한 조건으로 발행했는지 따져보겠다는 것이다.


커버드본드는 각종 대출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하는 채권으로, 다른 채권보다 발행 비용이 많이 든다.


국민은행 자회사가 2007년 영화 제작에 15억원을 투자했다가 흥행 실패로 손실을 본 것과 관련, 강정원 행장의 책임이 있는지도 조사 대상에 올라 있다.


KB금융 일부 사외이사가 전산 용역 등에 대해 국민은행과 부적절한 거래를 했고 사외이사 임기를 편법으로 연장했다는 의혹도 이번 종합검사에서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통상 금감원의 종합검사가 끝나고 관련 법규 위반 사항을 제재하는데 3개월 정도 걸리기 때문에 이르면 오는 5월께 제재 수위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에 따라 KB금융과 국민은행에 문책 바람이 불고 '보복검사' 논란이 확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일 강 행장이 문책경고 이상의 징계를 받으면 최소 3년간은 금융지주회사나 은행 임원으로 선임될 수 없어서 오는 10월 행장 임기 만료를 앞둔 그의 거취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강 행장은 지난주 말 국민은행 부행장 5명을 신규 선임하고 금감원 출신인 김중회 사장을 KB자산운용 부회장으로 전보 발령한 데 이어 차기 회장 인선에 절대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성공투자 파트너] -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