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요즘 한나라당은…'전운'에 휩싸인 친이·친박

친이-친박 '2대 쟁점' 정면충돌 초읽기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지연진 기자]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세종시 수정 반대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세종시 문제를 둘러싼 여권 내홍은 격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여기에 차기 대선후보 경선 룰의 핵심인 '국회의원의 경선캠프 참여금지' 조항을 놓고 친이(친이명박)ㆍ친박(친박근혜)계의 정면충돌 양상을 보이면서 퇴로 없는 승부수를 던질 태세다.

◆박근혜 한마디에 요동치는 여당


박 전 대표는 7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재경 대구ㆍ경북 신년교례회에 참석,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당론 채택에 대한 질문을 받고, "엄밀히 말하자면 당론을 뒤집는 것"이라며 "그렇게 당론을 만들어도 저는 반대한다"고 단호한 어조로 답했다.

정부와 친이계가 박 전 대표를 비롯해 친박계를 설득하더라도 '신뢰와 원칙'을 중시해온 박 전 대표의 생각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 대목이다 .박 전 대표는 '주호영 특임장관 등 정부 인사로부터 수정안을 전달 받았느냐'는 질문에 "제 입장이 분명하다"고 한데 이어 특히 "원안이 배제된 안에는 반대한다"고 강조, 9부2처2청 이전을 골자로 한 기존의 세종시 원안에서 물러설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이같은 발언에 친이계는 곤혹스러운 모습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8일 "박 전 대표의 발언은 새삼스러울 것이 없다"고 일축했다. 그러나 당론이 변경되더라도 반대하겠다는 발언에 대해서는 그는 "의원들이 충분히 토론해 당론이 확정되면 박 전 대표도 이를 부정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수도권의 한 친이계 의원은 "충청도민이 수정안에 찬성하면 박 전 대표의 생각도 바뀌게 될 것"이라면서 "야당도 아니고 일일이 국정에 발목을 잡으면 안 된다"고 비판했다.


당 일각에서는 친박계 중진인 홍사덕 의원이이날 라디오 방송에 출연, 사견을 전제로 제시한 '총리실을 포함한 5~6개 정부부처 이전' 중재안이 타협의 물꼬를 틀 수 있다는 희망적인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박 전 대표는 "저와 논의한 적 없는 (홍 의원) 개인의 생각"이라고 일격을 날렸다. 박 전 대표 대변인격인 이정현 의원은 "원안을 변경하는 것은 타협의 대상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


◆친이·친박, 경선룰 갈등 수면위로


세종시 문제와 함께 당헌당규 개정특위(위원장 황우여 의원)가 마련한 2010년 대선후보 경선 규정을 놓고 친이ㆍ친박계간 갈등도 증폭되고 있다. 특위안 가운데 '현역 의원의 경선캠프 참여금지' 조항에 대해 친반계 의원들이 중심이 돼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 조항은 대통령 후보를 비롯해 광역단체장 후보와 당 대표, 최고위원,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선출 경선까지 적용하기로 특위에서 잠정 결정한 상태다.


친박계 의원들은 이 조항이 "국회의원의 정치적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국회의원들을 배제한 경선 진행이 사실상 불가능한데 계파 의원들의 '물밑 지원'을 막을 방법이 없어 현실성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친이계는 "2007년 대선 경선 이후 당이 친이ㆍ친박계로 갈렸다"면서 계파 갈등을 해소한다는 점에서 도입을 강하게 주장했다. 남경필 의원 등 당내 소장파들도 이 제도에 찬성하고 있다.


당 안팎에서는 계파의 결속력과 지역에 따른 이해관계에 따라 이 같은 입장차가 나타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친박계는 박 전 대표를 중심으로 결속력이 강한데다, 박 전 대표의 지원이 당락을 좌우하는 영남권에선 친박계 의원들이 지원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공천배심원제도와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제도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친박계 의원들은 총선의 경우 최고위에서 공천배심원단을 구성하는 만큼 '보이지 않는 손'이 공천에서 압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당내 주류인 친이계가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상향식 공천제도인 완전국경민선의 경우에도 친박계는 "상대 당에서 경쟁력이 약한 후보를 지지하는 반작용이 있을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친박계 한 의원은 "동원력이 센 주류가 이제도를 악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특위는 당내 의견을 수렴한 뒤 최종안을 마련해 오는 11일 발표할 예정이지만, 이 제도를 둘러싸고 한동안 수면 아래 있던 친이ㆍ친박계 갈등이 세종시 문제와 맞물리면서 걷잡을 수 없는 내홍에 휩싸일 전망이다.

[성공투자 파트너] -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김달중 기자 dal@asiae.co.kr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