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난해 치매환자 45만명·진료비 부담 5년새 6배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노령화로 치매환자가 매년 급증함에 따라 치매 진료비 등 사회적 부담도 커지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저출산고령사회연구실 오영희 박사는 '노인의 치매 실태와 대책'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8.58%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치매 환자는 지난해 45만명에서 올해 47만명, 2012년 52만명, 2020년75만명, 2030년 114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치매유병률이 2010년 8.76%, 2012년 9.08%, 2020년 9.74%로 높아지는데 따른 것이다.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당 치매환자수는 35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와 비교해 프랑스 79명, 독일 38명, 영국 37명보다는 적지만 미국 6명, 일본 7명, 이탈리아 20명보다는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연령, 여성, 저학력이 치매 위험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고 특히 배우자가 없는상태이거나 머리에 외상을 입은 경력이 있고 우울증을 앓았던 병력이 있다면 치매위험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매 환자의 의료비 증가에 따라 사회적 부담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진료비는 2002년 470억원에서 2005년 1159억원, 2007년 3026억원으로 5년만에 6배나 늘었다. 1인당 치매 진료비가 2002년 118만8000원에서 2005년 200만원, 2007년 247만8000원으로 증가한데다 진료를 받은 인원도 4만명에서 7만3000명, 12만2000명으로 급격히 늘어난 때문이다.


이중 노인 장기요양보험 인정자가 치매환자 22.1%, 중풍환자 25.1%, 치매ㆍ중풍복합환자 7.2%인 점을 감안할 때 치매 노인의 증가는 장기요양보험 재정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오영희 박사는 "치매는 무엇보다 조기발견이 중요한만큼 전국의 모든 보건소가 치매조기검진 사업을 시행토록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며 "종합적이고 체계적인치매 치료관리와 치매환자에 대한 부양부담 경감 방안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성공투자 파트너] -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