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캠퍼스 '부정선거' 논란 점입가경…명지대 학생들 법적대응

대학생들, 급기야 법적 대응까지


[아시아경제 김효진 기자]총학생회 부정선거 논란을 둘러싼 '캠퍼스 내홍'이 점입가경이다. 전국 상당수 대학들이 이 문제로 시끄러운 가운데, 서울 시내 한 사립대 학생들이 최근 마무리 된 자교 총학 선거가 부정하게 치러졌다며 선거 결과를 무효화 하기 위한 법적 대응에 나섰다.

16일 서울서부지법에 따르면, 명지대 인문캠퍼스 사회과학대학 소속 학생 A씨 등 3명은 이달 초 끝난 총학 선거가 선거 세칙을 위반한 부정선거였다며 학교법인 명지학원(이사장 송자)을 상대로 '당선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지난 11일 냈다.


A씨 등은 신청서에서 "당시 선거는 총학 회장 후보 1명, 부회장 후보 1명이 입후보 해 찬ㆍ반을 묻는 단선 형태로 진행됐는데, 선거를 주관하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투표율을 높이려 유권자 신분 확인 및 서명 절차도 생략하고 '학번만 말하면 된다'는 식으로 지나가는 학생을 불러세웠다"며 "이는 대리투표를 조장한 것과 다름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중선관위가 세칙에 기재된 시각보다 1~2시간 가량 빨리 투표소를 철거했는데, 이는 유권자의 권리를 침탈한 행위"라고 강조했다.


이어 "투표함은 선거가 끝날 때까지 봉인돼야 하고, 봉인에 이상이 없는 게 확인 됐을 때 중선관위 위원 과반이 출석한 상황에서 개봉 및 개표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그러나 당시 투표함은 선거 기간(3일) 내내 봉인 장치나 자물쇠 하나 달리지 않은 채로 방치됐다. 이는 선거 결과에 대한 신뢰를 저해하는 결정적 이유"라고 덧붙였다. A씨 등은 부정행위 장면이 담겼다는 동영상 CD를 증거 자료로 법원에 제출했다.



부정선거 논란이 확산되자 명지대 내에선 학과 학생회장과 일반 학생 등이 참석한 공청회와 확대운영위원회 회의가 잇따랐다. 선거 결과를 인정할 지 여부를 논의하기 위한 전체학생대회도 예정된 상태다.


법원 관계자는 "선거 당시 상대 후보였던 학생이나 주요 관계자가 아닌 일반 학생들이 문제를 제기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했다.


총학 부정선거 논란에 따른 대학 내홍이 명지대만의 얘기는 아니다. 최근 서울대 총학 선거 과정에선 선관위 위원들이 봉인된 투표함을 몰래 열어봤다는 의혹과 함께 선관위 사무실 도청 파문이 불거진 바 있다.


성균관대 선거에선 후보들이 성추행 의혹에 휩싸이는 등 이유로 자격을 잃으면서 후보 재등록 사태가 빚어졌고, 이화여대 선거 과정에서도 후보 자격이 박탈되거나 자진 사퇴하는 일이 벌어졌다. 부산 부경대 선거에선 대리투표 용지 뭉치가 발견돼 파장이 일었으며 부산대와 동아대에선 자격 미달인 후보가 선거에 나선 게 드러나 진통이 빚어지기도 했다.

김효진 기자 hjn2529@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