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BK21 실적부진 112곳 사업비 삭감 (종합)

6곳은 탈락…최상위 사업단은 서울대ㆍ부산대 최다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두뇌한국(BK)21 사업 성과가 부진한 110여개 사업단의 지원비가 삭감되고 일부는 아예 지원 대상에서 탈락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전국 70개 대학, 495개 사업단(팀)을 대상으로 한 2단계 BK21 사업 3차 연도 연차평가를 13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전체 495개 사업단의 지난 1년 간(2008년 3월1일~2009년 2월28일)의 사업수행 실적에 대한 것이다.

평가 결과 45개 대학의 112개 사업단(팀)은 성과가 최하위로 나타나 교과부는 이들 사업단에 대해 연말까지 지급할 예정이던 사업비의 10% 내외(총 34억4800만원)를 삭감하기로 했다.


특히 성과가 현저히 부진한 6개 사업단(경북대 기계, 인천대 공학9, 한양대 공학14, 경희대 사회6, 대구가톨릭대 공학10, 전남대 예술체육2)은 내년부터 지원 대상에서 탈락시키기로 했다.


교과부는 대신 실적이 최상위로 평가된 40개 대학, 112개 사업단(팀)에 삭감된 사업비 34억4800만원을 인센티브로 나눠줄 예정이다.


최상위 평가를 받은 사업단 또는 팀이 가장 많은 대학은 전국 단위에서는 서울대(10곳)였으며 성균관대(8곳), 고려대(6곳), 한국과학기술원(5곳), 연세대(4곳), 중앙대와 서울시립대(각 3곳) 등의 순이었다.


지역 단위 중에서는 부산대 11곳, 전남대 5곳, 전북대와 충북대 각 4곳, 부경대3곳 등이 최상위 평가를 받았다.


3차연도 사업의 주요 실적을 분석해 보면 사업 참여 교수들이 지난 1년간 발표한 연구논문은 총 2만5999건으로 전년보다 7.7%, 대학원생 논문은 1만3861건으로 2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분야 SCI(과학논문인용색인) 논문의 건당 인용지수는 교수 2.51, 대학원생 2.5로 전년 대비 2%, 2.9% 늘었다.


대학원생들의 실적 향상이 두드러진 것은 우수 연구인력 양성이라는 BK21의 사업 취지와 부합하는 것이라고 교과부는 설명했다.


교과부는 내년에는 지원 기준을 한층 강화하고 하위 사업단 사업비 감액 조정폭을 최대 20%까지 확대하는 등 성과 관리에 더 집중할 계획이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