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입 바나나·향수·타이어, 주요국 중 가장 비싸

[아시아경제 이현정 기자]수입 바나나·향수·와인·승용차타이어와 우리나라 공영주차료 요금이 주요 선진국와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10일 선진 7개국(G7), 아시아 주요 3개국 및 한국의 11개 도시를 대상으로 유통구조가 폐쇄적이거나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20개 품목의 소비자가격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구매력평가지수(PPP) 및 환율에 따른 소비자가격의 비교 결과, 외국평균보다 지수가 높은 순서로는 수입승용차타이어가 외국평균의 3.3배로 가장 높았다. 쇠고기등심(3.1배), 수입바나나(2배), 돼지고기삼겹살(1.9배), 수입와인(1.7배), 민영주차료(1.6배), 수입오렌지(1.5배), 공영주차료(1.5배), 수입산악자전거(1.4배), 수입향수(1.4배), 수입스킨로션(1.4배)이 뒤를 이었다.


품목별 동일 브랜드 비교했을 때 수입 와인은 몬테스알파 카베르네 쇼비뇽 2006년산(750㎖)이 5개 비교국 가운데 가장 비쌌으며 향수의 경우, 케빈클라인 CK one·랄프로렌 폴로 블랙·불가리 옴니아 아메시스트가 비교대상 8개국 가운데 가장 가격이 높았다.

HP 프린터 잉크와 스코트스케일 산악자전거도 품목별 브랜드 가운데 가장 비싼 가격에 수입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시가스(0.3배), 치과스케일링(0.6배) 등은 외국보다 가격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가격차이는 수입품의 경우 수수료 등의 유통마진, 독점수입 판매구조, 국내딜러의 수직적 가격통제 등으로 추정된다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수입품 판매시장의 불공정거래 행위 감시·조사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소비자원은 "일부 품목에서 딜러의 수직적 가격통제, 사업자의 재판매가격 유지행위의 개연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유통장소별 판매가격이 동일, 수입업체에 의한 가격통제, 유통업체의 가격 담합 우려 등이 있으므로 해외공급처(본사) 등에 대해 공정거래법의 역외 적용(반경쟁행위 규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입농산물, 수입주류 및 수입화장품, 수입의류, 국내산 육류 등 유통마진이 조사대상품목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백화점 판매 품목의 경우 백화점 수수료가 평균 30%에 이르는 등 국내가격의 상승요인이 되므로 유통마진을 줄일 수 있는 유통단계 축소, 직거래의 유도 등 다양한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와 관련한 개선방안을 공정위 등 해당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이현정 기자 hjlee303@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