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아프리카 '역마샬플랜' 성공할까?

[아시아경제 조해수 기자] 천연자원 확보와 소비 시장 선점을 위해 아프리카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중국이 이번에는 아프리카에 생산 기지 건설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서양 국가들의 견제와 아프리카 내부 반발 등 풀어야 할 숙제가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4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이 세계은행과 아프리카의 침체돼 있는 경제를 부흥시키기 위해 서브 사하란 아프리카 지역에 생산기지 건설을 논의 중이다.

중국의 상무부 첸 데밍 장관은 중국은 아프리카 생산 기지 건설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장난감이나 신발류 등 저비용 공장들이 아프리카 지역으로 이전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은행의 로버트 졸릭 총재 역시 노동집약적인 산업과 판매망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아프리카 이전으로 이득을 얻게 될 것이라면서 아프리카 정부들이 중국 투자를 유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부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현재 2조2726억 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액의 일부를 후진국들의 경제 개발을 위해 사용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아프리카 투자 역시 중국의 '역(逆) 마샬플랜'이라고 지칭되는 이 정책의 일환이다.

중국은 이 정책 아래 지난달 8일 열린 제4차 중국ㆍ아프리카 협력포럼에서 향후 3년간 양허성 차관 100억 달러를 아프리카에 제공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채무를 면제해주고 관세 역시 60%나 삭감했다. 서방 국가들처럼 민주화 등 정치적 조건을 달지 않은 것도 파격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이 결실을 맺기까지는 많은 난관이 남아 있다. 중국의 대대적인 투자에도 불구하고 몇몇 아프리카 정부들은 중국의 신발 및 섬유 산업이 아프리카에 진출했을 경우 허약한 자국 산업을 약화시키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목적이 생산력을 옮기는 것이 아닌 중국 상품에 대한 새로운 수요를 만드는데 있다는 비판과 일맥상통하다.


또한 서방 국가들은 중국이 아프리카의 독재 정권을 지원해주고 있으며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은 또 다른 '식민주의'에 불과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중국 내부 상황도 쉽지 않다. 중국은 수출 산업에서의 실업을 막기 위해 위안화 평가 절상을 반대해 왔다. 그러나 이번 아프리카 생산 기지 건설은 중국 내 일자리 창출과 전혀 상관이 없는 것이다. 또한 중국 내륙 지방은 그동안 해안 도시의 임금 상승으로 노동력 부족 현상에 시달려 왔다. 이 때문에 이번 아프리카 생산 기지 건설이 자국 시장을 무시한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조해수 기자 chs900@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