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보육, 백년대계]③저소득층 보육료 지원확대를

휴일·24시간 맞춤형 어린이집

[아시아경제 박현준 기자] 서울 종로구에서 작은 봉제공장을 운영하는 A씨 부부는 지난해 크리스마스에도 공장을 돌려야 했다. 이 부부는 평소 아이를 맡기는 어린이집에 낮 동안만 돌봐줄 수 없냐고 물었다. 어린이집은 '휴일보육시설'로 지정돼 공휴일에도 선생님들이 돌아가며 근무를 한다고 답했다. A씨 부부는 안심하고 공장 일을 할 수 있었다.


휴일보육시설은 이른바 맞춤형보육시설 중의 하나로 최근 들어 많은 맞벌이부부나 한부모 및 조손가정으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는 어린이집의 하나다. 맞춤형 보육시설은 일반 보육시설이 아침 7시30분부터 저녁 7시30분가지 운영하는 것과 달리 운영 시간을 연장하거나 아예 24시간 운영하고, 공휴일에도 문을 여는 보육시설을 말한다.

맞춤형 보육시설은 온종일 일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맞벌이 부부, 영세민 부부 등이 일과를 마치고 7시30분전에 아이를 데려오기란 쉽지 않다는 현실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다.


'시간연장 보육시설'은 오후 9시 넘어 문을 닫기 때문에 야간업무가 많은 맞벌이 부부들이 애용한다. 정부는 이런 시설에 보육교사 채용비의 80%를 지원하고 있다. '24시간 보육시설'은 생활주기가 불규칙하거나 장기 출장이 많은 부모를 위한 시설이다. 부모가 소득하위 50%이면 전액을, 소득하위 50~60%이면 60%, 소득하위 60~70%는 30%의 보육료를 정부가 지원한다. 한부모 가정이나 조손가정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이다. 공휴일에도 문을 여는 '휴일보육시설'은 공휴일에도 일을 하는 영세계층이 주로 이용한다. 정부는 3명 이상의 영유아를 5시간 이상을 데리고 있을 경우 교사에게 5만원의 수당을 지원하고 있다.

정부는 시간연장형태의 보육시설 지원대상 교사 수를 올해 5000여명에서 내년에는 6000여명으로 늘리고, 예산도 361억원에서 407억원으로 확대했다.


그러나 정부 지원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게 일선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지적이다. 서울 노원구 중계동의 한 어린이집 원장인 정 모씨는 "24시간 보육시설은 한부모 가정이나 조손가정이 많아 준비물을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많다"면서 이런 아이들을 위한 추가 보육료는 물론, 아이들이 적은 야간에도 냉난방을 하는 데 따른 관련비용 지원도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교사 인건비 지원도 단골 주문 사항이다. 현재 시간연장 보육시설과 24시간 보육시설에서 교사를 채용하면 인건비의 80%를 정부가 지원하고 있지만, 일선 어린이집은 지원금액을 더 늘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체장애ㆍ뇌병변ㆍ시각장애ㆍ청각장애 등 장애 영유아들을 위한 '전담보육시설'과 '통합보육시설'에 대한 인건비나 차량 등의 지원을 더 늘려야 한다고 하소연하고 있다.전담보육시설 지원예산은 올해 212억원에서 내년 215억원으로 거의 비슷하다. 통합보육시설은 올해와 내년 모두 97억원으로 같다. '전담보육시설'은 장애아 20명 이상만을 보살피는 곳으로 160여곳에서 6000여명이 이용하고 있다. '통합보육시설'은 일반 영유아도 이용하지만 장애아를 위한 특별반이 설치된 곳으로 전국 756곳에서 3100여명의 장애아들이 다니고 있다.


서울 도봉구의 D어린이집의 원장 신 모씨는 "교사의 급여 외에 장애아동 이동을 위한 차량 운전사의 인건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고, 서울 송파구에서 통합보육시설을 운영하는 김 모씨는 "격성을 보이는 아동들이 10명중 1명꼴"이라면서 "이런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특수교사를 어린이집에 꼭 1명씩 배치하는 정부정책이 있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장애인 보육시설은 장애아동수에 변화가 없어 예산이 늘지 않았다"면서 "앞으로 현장의 목소리와 개선할 점을 파악해 관련부처와 협의를 통해 예산을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현준 기자 hjunpark@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