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휴업 학교 205곳으로 증가·지역별 휴교 검토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신종플루의 확산으로 휴업을 경정한 학교가 200곳을 넘어서자 교육과학기술부는 학교별 휴업 기준 마련, 지역별 휴교령 검토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교과부는 28일 오전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의사, 초·중·고교 교장, 학부모 등이 참선한 가운데 신종플루 관련 긴급 전문가 회의를 열고 학교별 휴업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

교과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를 기준으로 휴업을 결정한 학교는 전국적으로 205곳, 유치원 26곳, 초등학교 103곳, 중학교 55곳, 고등학교 14곳 등이다.


휴업 학교 수는 8월21일 5곳, 8월24일 38곳, 8월25일 46곳으로 증가하다 교과부가 휴업 자제령을 내린 뒤 9월1일 34곳, 9월22일 8곳, 9월29일 6곳으로 줄었으며 다시 10월20일 18곳, 10월26일 97곳, 10월27일 205곳 등 이달 중순 이후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교과부는 현재까지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개별 학교에서 휴업을 결정하라는 입장이지만, 신종플루가 급속히 확산되는 상황에서 일선 학교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휴업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특히 전국적인 일제 휴교는 할 수 없더라도 신종플루 환자가 집중적으로 나오고 있는 지역 학교는 지역단위의 휴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휴업은 학교장 재량에 따라 임시로 수업을 쉬는 것이고, 휴교는 시도 교육감이 강제적으로 학교 문을 닫도록 하는 조치다.


장기원 교과부 기획조정실장은 "전염을 예방하는데 휴업이 과연 효과적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견이 많다"며 "하지만 하루 사이 휴업 학교가 배로 늘어나는 등 상황이 심각해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휴업 대책과 관련, 교과부는 학교당 몇%의 학생이 감염됐을 때 휴업을결정한다는 내용의 휴업 기준(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방안과 아파트 밀집지역 등 소지역 단위로 단체 휴교령을 내리는 방안 등을 내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교과부는 이날 저녁 시도 부교육감 회의를 열어 학교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보건복지가족부와 혐의 한 후 이르면 29일 중 휴업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발표할 계획이다.


한편 대한의사협회는 이날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신종플루 확산속도를 늦추기 위해 늦어도 다음 주부터 전국에 일제히 휴교령을 내릴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